美 전기차 가격인하 경쟁 시작되나…도요타 EV가격 인하
입력
수정
41,000달러대 EV, 37,000달러로 내려
트럼프정부 출범후 EV보조금 존속 불투명해져
"테슬라도 시장 점유율 유지하려면 가격인하 불가피"
17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토요타는 이 날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배터리전기자동차의 가격을 최대 6,000달러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25년 모델 BZ4X는 기존 41,000달러 넘던 시작가가 약 37,000달러로 내렸다. 2024년 모델보다 14% 내린 금액이다.
일본에서 제조된 BZ4X는 미국 외에서 생산됐기 때문에 세액 공제 대상은 아니다. 하지만 리스하는 경우에는 미국외에서 생산된 전기차도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9월까지 토요타는 미국에서 13,577대의 BZ4X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9%증가한 것이지만 전체 EV시장에서는 약 1.4%에 불과하다. 테슬라의 모델Y는 약 285,000대를 팔았다. 이는 미국 EV 시장에서 약 30%를 차지한다.
올들어 9월까지 미국내 EV 판매량은 약 100만대로 전년 동기대비 약 9% 증가했다.
투자자들은 이것이 내년 이후 미국내 EV 판매와 자동차 주식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켓워치는 전기차들이 세액 공제를 못받게 되면 미국 EV 산업의 가격 구조가 전면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세액 공제가 폐지되는 것이 한국과 일본의 전기차 등 경쟁 전기차들에 더 타격이 커 테슬라에는 상대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테슬라 주가는 11월 5일 선거 이후 약 84% 상승했다.
테슬라는 신용 없이도 돈을 벌 수 있는 규모와 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세액공제라는 보조금이 없어지면 다른 자동차 업체가 더 큰 타격을 입어 시장 점유율이 오히려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EV가운데 약 50%를 테슬라가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세액 공제가 사라지는 것이 테슬라에 좋은 소식만은 아니다. 퓨터펀드액티브 ETF를 만든 개리 블랙은 "테슬라에 상대적 이익일 수는 있어도 전체 전기차 판매에 역풍"이라고 지적했다. 즉 판매 감소를 막기 위해 가격 인하가 불가피해지고 이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테슬라는 2022년과 2023년에 EV 가격을 대폭 인하했다. 모델 Y중 인기있는 버전의 가격은 약 66,000달러에서 약 53,000달러로 내렸다. 가격 인하후에 판매 대수는 2022년 130만대에서 2023년 180만대로 증가했지만 영업 이익률은 17%에서 약 9%로 떨어졌다. 팩트셋에 따르면 올해 영업이익률은 9%, 내년에는 11%로 예상된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