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한번도 못 본 곤충 늘어났다..."기후 온난화 탓"
입력
수정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5년(2020∼2024년)간 한국에서 발견된 아열대성 곤충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6년부터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에 따라 한반도 곤충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새롭게 발견된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의 비율을 분석해왔다.
그 결과 아열대성 지역 곤충 비율은 2020년 4%, 2021년 4.4%, 2022년 5%, 2023년 6.5%, 2024년 10.2%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4년에는 아열대성 기후에 서식하는 미기록종 후보 38종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됐다.
이 중 제주박각시살이고치벌, 큰활무늬수염나방, 노란머리애풀잠자리 등 21종은 제주도에서 최초로 확인됐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곤충의 신규종 발굴뿐만 아니라 아열대성 곤충의 출현 상황 등도 계속 관찰해 향후 관련 정책 마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