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협상팀 모스크바 도착한 날, 러시아 '30일 휴전 제안' 거부
입력
수정
지면A10
"우크라에 숨 돌릴 시간주는 것"
푸틴은 군복 입고 전선行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보좌관은 13일 국영TV 연설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협상 후 제안된 30일 휴전은 우크라이나군에 숨 돌릴 시간을 주기 위한 것일 뿐”이라며 “러시아의 이익과 우려를 반영한 장기적·평화적 해결책을 원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향후 협력 과정에서 러시아의 의견을 고려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의 이 같은 입장은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가 이날 휴전협상을 위해 모스크바에 도착한 가운데 나왔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30일 휴전에 합의하고 러시아에도 동참하라고 압박하는 상황이었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를 더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쿠르스크 접경 지역 최대 도시인 수드자를 탈환했다고 발표했다. 수드자는 지난 6개월 동안 우크라이나군이 장악했던 지역이다.
지난달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이 파행으로 끝난 이후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정보 지원을 중단하자 러시아는 이 틈을 노려 쿠르스크주 남서부 접경지에서 빠르게 진격했다. 지난 12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사진)이 쿠르스크를 찾았다.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30일 휴전안’을 수용한 지 하루도 안 돼 이뤄진 행보였다. 푸틴 대통령은 쿠르스크 지역 군 지휘소에서 열린 회의에 군복을 입고 참석해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고 국경을 따라 완충 지대를 설정하는 방안을 고려하라”고 지시했다.
푸틴 대통령이 쿠르스크 방문을 통해 러시아군이 전선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휴전안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가 쿠르스크를 탈환하면 휴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 총참모장은 “우크라이나가 기습 공격으로 점령한 (쿠르스크) 영토의 86%를 탈환했다”고 보고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