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거부 의대생, 유급 통보 시작…'의대 트리플링' 현실화
입력
수정
15일 대학가에 따르면 고려대는 개강 후 실습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본과 3학년 84명, 4학년 41명 등 총 125명을 대상으로 유급 통보 방식을 논의하기 위해 전날(14일) 전체 교수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당초 세운 원칙대로 유급 조치를 진행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는 7일 수업 참여를 거부한 4학년 본과생 48명에게 유급 예정 통지서를 보냈고, 이날도 본과 1~3학년에 대해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통상 대학은 전체 수업 일수의 3분의1 또는 4분의1을 이수하지 않으면 유급 처분을 내린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모두 수업 일수의 3분의1 이상을 출석하지 않으면 유급 대상이 된다. 다른 대학들 역시 학칙에 의거, 수업을 거부한 의대생들에 대해 유급 절차를 진행하리란 관측이다.
교육부와 대학 모두 학칙에 "따른 원적 처리 방침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장인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다른 대학도 이번 주나 다음 주 중 대부분 유급예정통지서를 보내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아직 학기가 끝나지 않았는데도 유급이 결정된 건 의대의 독특한 수업 방식 때문이다. 의대 예과는 다른 전공생처럼 학기 단위로 수업이 운영되지만, 본과는 특정 과목을 몇 주간 몰아서 듣는 블록 형태로 진행된다. 이 때문에 블록형으로 수업을 듣는 본과생 유급 시기가 연달아 도래하는 것.
집단 유급이 현실화되는 상황이지만,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복귀보다는 수업 거부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연세대는 7일 본과 4학년 48명에게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것에 이어 15일 본과 1∼3학년에 대한 유급 여부를 결정해 유급 예정 통보서를 보낸다. 본과 4학년 유급 처리 대상 최종 명단도 확정한다. 본과 3, 4학년 유급을 결정한 고려대도 곧 대상자 125명에게 유급 예정 통보서를 보낼 계획이다. 아주대, 인하대, 전북대, 전남대 등이 이번 주중 수업 불참자에 대한 유급 처분 여부를 검토 중이다.
현재는 본과생들이 유급 대상자로 올랐으나 만일 예과생들까지 유급 절차를 밟을 경우, 24·25·26학번 학생들이 수업을 함께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이 발생할 수 있다. 예과생들의 수업 거부 의지는 본과생보다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와 대학은 지난해 휴학한 24학번과 올해 신입생인 25학번까지 약 7500명을 동시에 가르치는 '더블링'은 교육 과정을 재설계하거나 계절학기 등을 활용해 해결할 수 있지만 26학번까지 1학년만 1만명이 넘어가면 의대 교육이 붕괴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여전히 안개 속이다. 교육부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을 기준으로 모집 인원을 확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수업 참여율이 저조해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는 의대생들이 복귀하려면 교육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동결 발표를 먼저 해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달 '의대생이 전원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동결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대학 내에서는 복귀율이 절반은 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복귀율은 절반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