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바카라

차별에 맞서 스시 대신 김밥 선택한 일본 학생들

영화 리뷰

로 데뷔한
日 감독, 네오 소라의 첫 극영화

차별과 부조리가 고착화된 일본...
재일한국인, 대만인 등으로 이뤄진 5인방 통해
그 이후 세대를 그에 대항하는 주체로 그려내

하마구치 류스케,
미야케 쇼와 함께
일본 대표 작가주의 감독으로 등극
고등학생인 유타, 코우, 밍, 톰, 아타 5인방은 자잘한 사고도 치고, 적당한 일탈도 즐기며 행복한 유년 시절을 보내는 절친들이자 학교 음악동아리의 멤버들이다. 클럽에서 밤을 보내고 학교로 돌아오던 날, 유타와 코우는 교장이 학교 건물 앞에 전시하듯 주차해 놓은 샛노란 스포츠카를 세로로 세워놓는 장난을 친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인을 색출하는 수사가 시작되는 와중 일본 전역을 뒤흔드는 강력한 지진이 일어난다. 정치인들은 국가안보를 내세워 외국인들을 타겟으로 차별 정책을 강행하고 학교 역시 모든 학생을 CCTV 시스템으로 감시해 벌점을 주는 ‘패놉티(panopty)’ 라는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지진 이후 학교는 전시를 방불케 하는 파시스트적 지배 체제에 놓인다. 학생들은 작은 쓰레기 하나를 버려도, 애정행각을 하거나 쉬는 시간 이후에 이동만 해도 감시 카메라에 포착되어 벌점을 받게 된다. 이런 시스템 안에서 가장 차별받는 대상은 외국인 학생들이다. 특히 국가 장학금 후보인 자이니치(재일교포) 3세 코우는 감시 시스템으로 벌칙을 받고 장학금 자격을 박탈당하게 될까 마음이 불안하다.
영화 <해피엔드> 스틸 컷. / 사진출처. 네이버영화
영화 <해피엔드>. 주인공 유타와 코우는 교장의 샛노란 스포츠카를 세로로 세우는 장난을 친다. / 사진출처. 네이버영화
<해피엔드>는 근미래의 한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학원물처럼 보이지만 실상 영화의 화두는 그보다 훨씬 심오하고 복합적이다. 특히 영화는 ‘지진’이라는 미래의 사건을 통해 일본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차별의 역사를 상기한다. 예를 들어 지진이 벌어지고 국가가 공개적으로 외국인들을 문제의 대상으로 지목해 차별을 부추기는 행태와 이로 인해 인종 간 갈등과 충돌이 벌어지는 광경은 어렵지 않게 간토 대지진을 떠올리게 하는 부분이다. 영화의 중심인물이자 재일 한국인인 코우는 일본의 이러한 차별의 역사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그는 학교에서 공부도 잘하고 친구들과도 잘 지내는 인물이지만 경찰의 시도 때도 없는 불심검문에 시달려야 하며, 그의 엄마가 운영하는 한국 식당에는 늘 누군가에 의해 남겨진 ‘외부인’이라는 낙서와 상흔이 존재한다.

코우가 차별의 역사를 상징하는 인물이라면 학교의 교장, ‘나가이’는 권력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다른 선생들마저 수하에 두고 군림하는 자이자 궁극적으로는 ‘패놉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본격적인 감시 체제를 도입하는 지배 세력의 중심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패놉티’라는 명명은 흥미롭다. 이는 미쉘 푸코의 저서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에서 등장한 ‘패놉티콘(panopticon: 감옥의 중앙, 감시가 이루어지는 중심)’을 암시하는 단어이자, 학교를 통해 일본 사회의 비관적 미래를 예고하는 기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지진으로 인해 시작된 사회 내부의 균열은 곧 5인방의 균열로 이어진다. 코우는 같은 반 친구이자 운동가 ‘후미’의 능동적인 행보에 이끌리게 되고 그녀가 참여하는 거리 시위 운동에 합류한다. 코우의 단짝인 유타는 클럽이 아닌 시위장으로 향하는 코우가 못마땅하다. 한편 5인방 안에서 친구들의 해결사가 되어주던 톰은 아버지가 사는 나라인 미국으로의 이민을 앞두고 있고 이러한 틈에서 밍과 아타는 그들만의 관계를 만들어 나간다.
영화 &lt;해피엔드&gt; 스틸 컷. / 사진출처. 네이버영화
<해피엔드>는 류이치 사카모토의 마지막 연주를 담은 콘서트 필름, <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2023)로 데뷔한 네오 소라 감독의 첫 극영화이다. 1991년생인 네오 소라 감독은 이번 <해피엔드>를 통해 토론토국제영화제와 뉴욕영화제를 포함 유수의 영화제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미야케 쇼와 하마구치 류스케와 함께 일본의 아트하우스 영화를 대표할 수 있는 인물로 등극했다. 무엇보다 이번 영화를 통해 보여준 네오 소라의 가능성은 뛰어난 아티스트로서의 비전도 그러하지만 현 사회를 직시하는 일본의 30대 청년 세대의 시선이다. 적어도 네오 소라 감독이 직시한 일본 사회는 차별과 부조리가 시스템으로서 정착한 공간이며 적어도 그가 대표하는 세대, 혹은 그 이후 세대만큼은 그 부조리에 대항하는 주체인 것이다. 이는 영화의 주인공인 5인방의 조합으로도 나타난다. 코우는 재일한국인, 밍은 대만인, 톰은 일본인 어머니와 미국인 아버지에서 태어난 혼혈로서 이들은 교실을 채우고 있는 많은 수의 혼혈 학생들을 반영하는 구성이기도 하다.
영화 &lt;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gt; 스틸 컷. 사진제공. 엣나인필름
네오 소라 감독은 학생들의 다양한 인종적 다양성을 통해 이전 세대가 잠식하고 있음을, 혹은 그래야 함을 스시와 김밥의 차이로 역설하기도 한다. 학교의 공공연한 인종 차별과 감시 카메라에 대항하는 학생들은 교장실을 점거한다. 늦은 밤이 되자 곧 교장실로 스시가 배달되고 교장은 학생들에게 스시를 나눠주지만, 그들은 교장의 호의를 내친다. 곧 교장실의 문을 두드리는 존재는 코우다. 코우는 아이들에게 김밥을 건네고 아이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코우의 김밥에 손을 뻗는다.

짤막하고도 코믹한 장면이지만 이 대목은 세대 간의 차이, 혹은 세대교체를 종용하는 네오 소라식 유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해피엔드>는 그런 멜랑콜리를 간직한 영화다. 미래를 통해 유년을 추억하는 영화, 동시에 그 유년의 이전 시대에 있었던 아름답지 못한 과거와 현재를 말하는 영화. <해피엔드>가 한국에서도 그러하지만 일본에서 더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었으면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

바카라사이트 실시간 바카라사이트
  • 친절한 링크:

  • 바카라사이트

    카지노사이트

    바카라사이트

    바카라사이트

    바카라사이트

    바카라사이트 서울

    실시간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