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뉴욕 아트위크의 '여왕' 김아영.. "AI와의 동행, 아주 먼 과거에서 시작됐다"
입력
수정
제3회 LG구겐하임어워드 수상한 김아영“미래적 상상력을 인공지능(AI)기술로 구현해 예술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선도적인 예술가.”
생성형 AI, VR, 모션그래픽 등 기술 적극 활용
현대 사회의 문제와 역사의 모티프 엮어
시공간 넘나드는 가상의 미래 영상과 설치로 구현
종로 낙원상가 아파트에서 작업하는 책벌레
고대 신화와 역사서 모티프 "미래는 과거에 답이 있다"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열린 제3회 ‘LG구겐하임 어워드’시상식에서 주최 측이 첫 한국인 수상자를 호명하며 내린 평가다. 최근 3년간 세계가 가장 주목하는 예술가, 첨단 기술로 순수 예술계를 뒤흔든 주인공은 김아영 작가(47)다. 나오미 벡위스 구겐하임 수석 큐레이터는 “김아영 작가의 작품은 디지털 시대의 시간과 인간의 경험에 대해 깊은 질문을 던지고, 현대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을 드러낸다”고 했다.
그는 이야기꾼이다. 가장 현실적이면서 가장 비현실적 것들을 뒤섞는다. 이야기를 풀어내는 도구는 지금도 무한히 확장 중이다. 영상, VR, 텍스트, 퍼포먼스, 게임 시뮬레이션, 인공지능(AI)까지 그야말로 한계가 없다. 서울 태생으로 한국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그는 모션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다 다소 늦은 나이인 20대 후반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사진과 순수 미술을 공부하고, 30대가 되어서야 지금의 세계를 하나씩 엮어나가기 시작했다.
김아영 작가와의 대화는 지난달 21일 서울 작업실에서 시작해 이달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으로 이어졌다. ‘디지털 아티스트, 혁신의 아이콘’이라 불리는 그가 하루 중 가장 오랜 시간 머무는 곳은 1968년 지어진, 한국 최초의 주상복합인 종로 낙원아파트. ‘미래는 역사에 답이 있다’는 말을 증명하듯 김아영 작가는 마치 시간이 멈춘 것 같은 공간에서 7년째 새로운 미래를 써 내려가고 있었다.
“소설을 어릴 때부터 정말 좋아했어요. 웹소설에도 빠져있죠. 마음 한 켠엔 소설가가 되고 싶은 마음이 컸는데, 범접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아요. 어쩌면 저는 영상으로 소설을 쓰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이디어가 문득 떠오르면 일단 메모하는 습관이 있어요. 소설가의 상상력과 비슷하지만, 시각화해야 하기 때문에 (등장인물이나 기술적인) 제약이 존재하는 게 다른 부분 아닐까요.”
“AI라는 게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엄청난 것이 아니라 유년기에 있기 때문에 많은 부분 열어놓고 협업을 하게 됐어요. AI가 어떻게 해야 내 생각을 제대로 이해하고 행동할 지 그 과정을 같이 학습해 나가는 과정이 늘 새롭고 또 즐겁습니다.”
그는 최근 몇 년 간 베네치아, 아시안아트, 광주 등 주요 비엔날레를 통해 가장 주목받는 작가 반열에 올랐다. 2023년 세계 최대 규모의 미디어 아트 어워드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에서 최고상인 골든 니카상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다. 올해만 해도 베를린 함부르크반호프와 서울 아뜰리에 에르메스, 뉴욕현대미술관(MoMA), 홍콩M+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인전이 열린다. 이번 LG구겐하임어워드는 그 중에서도 특별하다. 기술을 활용해 창의성 영역에서 혁신을 이끈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만큼 예술계뿐만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작품의 가치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1회 수상자인 슈리칭, 2회 수상자인 스테파니 딘킨스 등 그동안 미디어아트에 획을 그은 대가들이 받는 상이어서 전혀 예상치 못했습니다. 작업의 모티브는 늘 존재했지만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공부해 실현시킬 수 있었던 점이 행운이었던 것 아닐까요. 17년간 늘 같은 마음으로 작업을 해왔는데, 그 축적된 시간의 좋은 기운이 모여 영광의 순간이 온 것 같습니다.”
가상의 미래 서울을 배경으로 한 픽션 ‘딜리버리 댄서의 구’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음식 배달 앱을 거의 매일 사용한 경험에서 출발했다. 여성 베테랑 라이더를 만나 뒷좌석에 탄 채 서울 곳곳을 누비며 GPS 정보를 수집하며 ‘유령 노동자’라 불리는 그들의 삶을 파헤쳤다. 망각되거나 소멸된 기술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면 무작정 찾아가는 일도 부지기수다. 그의 설치 작품 중 거대한 해시계는 과거엔 ‘첨단 기술’로 통했던, 달력을 만드는 각국의 방식들을 탐구하며 탄생했다. 소백산에서 열리는 천문학 학회의 워크숍에 참석해 숙식을 같이하며 인터뷰하고,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때까지 풍수지리와 천문학을 연결해 나침반으로 쓴 ‘윤도(輪圖)’를 지금도 만들고 있는 고창 낙산마을의 무형문화재 명인을 찾아가는 식이었다.
잊혀가는 것들을 가장 미래적인 이미지로 만드는 그의 작업은 지금 서울 청담동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도 만날 수 있다. 작가의 내레이션으로 전개되는 28분짜리 영상 작품인 ‘플롯, 블롭, 플롭’은 어린 시절 중동에 파견을 갔던 아버지와 얽힌 개인사가 바탕이다. 당시 한양건설이 수주받은 프로젝트는 사우디 최초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중 하나였던 리야드의 ‘알 마터 주택 단지’. 한국 교민들 사이에선 ‘한양아파트’로 불렸고, 걸프전 때는 쿠웨이트 난민들의 피난처가 되면서 ‘쿠웨이트 아파트’가 됐다. 지금은 사우디아라비아 중산층이 사는 아파트로 변모했다. 석유가 매개했던 역사, 아파트 도면이 시사하는 중의성, 그 장소가 교차해내고 있는 기억을 모두 아우른다. 가족 앨범 사진과 실사 촬영 영상, 걸프전 관련 신문과 자료가 생성형 AI와 게임 엔진 애니메이션과 만난다. 2015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본전시에서 20세기 역사를 석유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제페트, 그 공중정원의 고래기름을 드립니다. 쉘’ 이라는 사운드 퍼포먼스 연작을 10년 만에 시각의 영역으로 확장한 셈이다.
뉴욕=김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