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매우, 매우 위험한 상황" 월가 황제 경고한 까닭은
입력
수정
지면A18
다이먼의 경고
"시장이 관세·지정학 위험 과소평가"
美 관세율 여전히 극단적 수준
기업 자금조달 환경 악화될 듯
다이먼 CEO는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JP모간 주최 투자자 행사에서 “인플레이션 상승과 스태그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은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높다고 본다”며 “미국 자산 가격은 여전히 고평가돼 있다”고 말했다. 지정학적 위험도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하며 ‘매우’라는 단어를 세 차례 반복했다.
S&P500지수는 올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와 미국 자산의 신뢰도 하락으로 4월 한 달간 급락했다.
지난 12일 미·중 무역 협상 이후 관세 전쟁이 휴전 국면에 들어가자 S&P500지수는 반등세를 보였다. 연초 이후 현재 수익률은 1.62%다. 마이너스(-)에서 플러스(+) 전환했다.
이에 대해 다이먼 CEO는 “사람들이 관세의 영향을 아직 보지 못했기 때문에 꽤 괜찮다고 느끼는 것 같다”며 “시장이 10% 하락했다가 다시 10% 상승했는데 이는 놀라울 정도의 안일함”이라고 진단했다.
다이먼 CEO는 신용 스프레드가 경기 침체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대규모 경기 침체를 경험해보지 못한 이들은 신용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요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이 악화할 수 있는 상황을 언급한 것이다.
또한 미국과 중국이 합의를 통해 일시적으로 관세율을 낮췄음에도 현재 관세 수준을 ‘상당히 극단적’이라고 봤다. 미국이 무역 상대국에 10% 관세를 부과한 것은 1971년 이후 최고 수준이란 것이다.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 인도 유럽연합(EU) 등 미국과 관세 협상을 이어가는 국가들이 어떻게 대응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그는 관세를 통해 미국 제조업을 활성화하려는 계획 역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실적 추정치가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