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T기업, 콘텐츠 유통에 '사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앱 장터' 춘추전국시대
공세에 나선 구글
앱 장터 규제 강화…양질 콘텐츠로 수익성 극대화 추구
애플
깐깐한 앱 관리…유료콘텐츠 확보…1위 수성에 안간힘
아마존
킨들파이어 내놓고 모바일 플랫폼 구축…판매 수익 확충에 주력
페이스북
美·英에 앱센터 열어…지난달 한국 서비스
공세에 나선 구글
앱 장터 규제 강화…양질 콘텐츠로 수익성 극대화 추구
애플
깐깐한 앱 관리…유료콘텐츠 확보…1위 수성에 안간힘
아마존
킨들파이어 내놓고 모바일 플랫폼 구축…판매 수익 확충에 주력
페이스북
美·英에 앱센터 열어…지난달 한국 서비스
애플은 콘텐츠 유통을 장악하면서 정보기술(IT)업계의 강자로 올라섰다. 2007년 스마트폰 시장에 후발주자로 진출했지만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 장터인 앱스토어를 앞세워 IT업계의 판도를 바꿨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IT산업의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단말기(D)’ 영역은 유기적으로 융합됐다. 그 정점에는 앱을 포함한 콘텐츠가 자리 잡고 있다. 글로벌 IT기업들이 콘텐츠 유통에 혈안인 이유다.
○구글의 반격
최근 콘텐츠 유통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는 기업은 단연 구글이다. 구글은 경쟁사인 애플의 아이튠즈와 유사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인 구글 플레이를 지난 3월 만들었다.
기존 앱 장터인 안드로이드마켓에 구글뮤직과 e북스토어를 합친 것이다. 콘텐츠 유통에서 지배력을 강화하겠다는 복안이다. 구글은 지난 6월 개최한 구글 개발자 콘퍼런스 ‘구글 I/O’에서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앱이 60만개를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한 주 앞서 애플은 ‘세계 개발자 콘퍼런스(WWDC)’에서 앱스토어에 65만개 앱이 등록돼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콘텐츠 규모에서 열세였던 구글이 비로소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꽃이라 불리는 앱 부문에서 애플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셈이다.
구글은 또한 애플처럼 앱 장터를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나섰다. 통제력을 강화해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구글 전체 매출의 90% 이상은 광고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전체 수익의 30% 이상을 콘텐츠 유통에서 얻는 것과 비교된다.
구글은 7월31일 앱 개발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방식으로 앱 규제 강화책을 내놨다. 유해 콘텐츠는 물론 스팸을 보내는 앱, 검색 노출 빈도를 높이기 위해 관련 없는 키워드를 등록한 앱, 사용자의 동의 없이 문자메시지(SMS)를 보내는 앱 등을 모두 제한한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구글은 애플의 강력한 통제와 달리 자유로운 콘텐츠 유통을 허용했다. 앱 검수 기간도 짧고 까다롭지 않아 앱 개발자들이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자유로운 운영 시스템이 악성코드, 불법물 등 유통을 방조했고 유료 앱을 공짜로 설치할 수 있는 ‘블랙마켓’도 성행시켰다. 구글 앱 평균 수익이 애플의 절반을 밑도는 이유다. 이 때문에 구글도 더 이상 손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애플의 수성과 아마존의 추격
애플은 모바일 콘텐츠 시장에서 여전히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폐쇄적이지만 깐깐한 앱 관리, 양질의 유료 콘텐츠 확보 등으로 지난해 모바일 콘텐츠 부문 매출 78억5500만달러를 올렸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진영이 커지고 단말기 간의 성능 차이가 줄어들면서 1위 수성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애플은 앱스토어 품질 관리에 더욱 신경 쓰고 있다. 지난 2월 앱 검색업체 촘프를 인수해 구글플레이에서 촘프 서비스를 막고 앱스토어 검색 기능 강화에 나섰다. 지난 7일 배포된 개발자 대상 iOS6 베타 버전에 따르면 앱스토어에 촘프 시스템을 적용해 앱 추천 기능을 추가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출발한 아마존도 지난해 태블릿PC ‘킨들파이어’를 내놓고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했다. ‘아마존 앱스토어’를 운영하며 앱 3만여개, 동영상 2000여개, 전자책 100만여권 등을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은 콘텐츠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단말기를 싸게 내놓는 전략을 쓰고 있다.
제프 베저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6일 롱텀에볼루션(LTE)을 지원하는 킨들 파이어 HD 등 3종 기기를 새로 선보이며 “아마존은 사람들이 우리 제품(기기)을 살 때 돈을 벌려는 게 아니고 소비자가 우리 제품을 이용할 때 돈을 벌길 원한다”고 말했다. 기기보다는 콘텐츠 판매 수익 확충에 계속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세계적으로 8억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페이스북도 지난 6월 자사의 앱 장터인 ‘페이스북 앱센터’를 미국, 영국에 열고 모바일 콘텐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3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김주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