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화학회사 등 M&A 추진
현금성 자산 6조원 실탄 '두둑'
1분기 신용등급 상향 가능성
이 내년 말까지 주가를 현재의 두 배 수준인 32만원까지 올리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를 위해 총 7조원의 투자를 단행해 회사 체질을 획기적으로 바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해 투자 실탄도 넉넉히 확보했다는 자체 진단이다.
◆“투자로 승부하겠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0.93% 오른 16만2000원에 마감했다. 이 회사 주가는 최근 1년 새 20.4% 뛰었다. 실적 호전이 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 이도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에 8822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돼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20% 웃돌 전망”이라며 목표가를 23만원에서 26만원으로 높였다.
하지만 SK이노베이션이 내년 말까지 목표로 잡은 주가는 증권사 최고 목표가(26만원)보다 24.7% 높다. 이 회사의 김준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내년 말까지 기업가치를 30조원으로 높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시가총액이 30조원에 도달하려면 주가는 32만4445원이 돼야 한다. SK이노베이션은 주가수익비율(PER=시가총액÷순이익)과 순이익을 동시에 끌어올려 시가총액(PER×순이익) 30조원을 맞출 계획이다. 연간 순이익 규모는 현재 2조원대에서 3조원대로 늘리기로 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의 PER은 7.3배다. 해외 에너지기업인 로열더치셸(26.6배) 바스프(18.4배) 시노펙(16.9배) 등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친다. SK이노베이션은 국제 유가 향방에 따라 주가가 등락하는 ‘굴뚝기업’ 이미지를 벗어 PER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넥슬렌(고부가가치 폴리에틸렌)과 배터리 등 신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미국 다우케미칼, 엑슨모빌만 생산하고 있는 넥슬렌은 SK이노베이션이 성장기업이라는 인식을 투자자들에게 심어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사우디아라비아 화학업체인 사빅과 손잡고 넥슬렌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재무적 부담은 크지 않아”
SK이노베이션은 이 같은 시설투자와 병행해 인수합병(M&A)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인수 대상은 미국과 중국에 근거지를 둔 화학과 윤활유 회사, 원유광구 등으로 이미 압축해 놓았다. 최준성 재무1실장(상무)은 “전략적 투자자(SI)와 손잡고 인수에 나서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인수대금 일부를 차입금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자금 부담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중국 화학회사인 상하이세코의 지분 50% 인수도 저울질하고 있다. 이 지분의 가치는 2조원가량으로 추정된다.
SK이노베이션의 기업·자산 가치 분석 능력이 갈수록 향상되고 있는 만큼 M&A에 대한 시너지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 브라질 캄포스 해상광구 지분을 최고점 수준인 24억달러에 처분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 광구 지분가치는 이후 급락하며 2014년 처분가격의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내년까지 7조원을 투자해도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은 비주력자산을 팔고 차입금을 상환해 부채비율을 2014년 말 118.6%에서 지난해 9월 말 77.4%로 낮췄다. 지난해 9월 말 현금성 자산은 6조1304억원으로 사상 최고다. 국제신용등급(무디스 기준 Baa2)도 올해 1분기에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올해 12월부터 개인 투자자가 해외 장내파생상품과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상장지수증권(ETN) 등에 투자하려면 일정 시간 이상의 사전교육과 모의 거래를 이수해야 한다.금융투자협회는 해외 고위험 상품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고 25일 밝혔다.협회에 따르면 최근 해외 파생상품 및 레버리지 ETF·ETN 등 ETP(상장지수상품) 투자가 확대되고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개인투자자는 작년 해외 파생상품 투자에서 3899억원 손실을 봤다. 5년 연속 대규모 손실을 내고 있는 것이다.해외 레버리지 ETP에 투자하는 개인도 증시 변동성 확대로 인한 손실 우려에도 과도한 추종 매매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0년 15만6000좌에 그쳤던 해외 레버리지 ETP 거래 계좌는 작년 196만7000좌로 급증했다.이에 협회는 해외 파생상품을 신규로 거래하려는 개인투자자에 대해 투자 위험이나 구조 등을 설명하는 사전교육 및 실제 거래와 유사한 모의 거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사전교육과 모의 거래 이수 시 인증번호를 부여해 이를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에 입력해야 주문 제출을 할 수 있는 구조다.증권·선물사는 투자자 성향과 관련 금융 상품 거래 경험, 연령 등에 따라 사전교육은 1~10시간, 모의 거래는 3~7시간 내에서 차등 작용할 계획이다.예를 들어 공격투자형이 아니거나 65세 이상 투자자는 사전교육 10시간, 모의 거래 7시간이 적용된다.해외 레버리지 ETF·ETN을 신규로 거래하기 위해서도 1시간의 사전교육을 이수해야 주문을 제출할 수 있게 된다.해외 레버리지 ETP 투자는 파생상품과 달리 원본 초과 손실 가능성이 없고 거래방식도 일반적인 주식 매매와 같기 때문에
증권시장에서 삼양식품과 오리온의 주가가 고공 행진하고 있다. 해외 사업 호조가 주가를 끌어올렸다.지난 23일 삼양식품 주가는 114만3000원을 기록했다. 2023년 초 11만5000원 선이던 주가가 2년여 만에 10배 가까이 급등한 것이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의 세계적 인기로 올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분기 영업이익률(25.3%)도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초코파이를 판매하는 오리온도 비슷한 분위기다. 지난 1년간 주가 상승폭이 20.09%를 나타냈다. 1분기 내수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1.6% 늘어나는 데 그치는 동안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지로의 수출 규모가 23% 증가한 영향이다.반면 내수에만 집중한 식품기업들은 주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자 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경쟁 압력은 높아지고, 주요 원료 가격은 오르는 등 악재가 겹친 결과다. 내수 비중이 전체 매출의 92%에 달하는 롯데웰푸드는 지난 1년간 주가가 26.74% 빠졌다.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6% 줄어드는 등 실적이 악화했다. 내수 비중이 89% 수준인 오뚜기도 지난 1년간 주가가 13.36% 내렸다.선한결 기자
최근 필립모리스,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 등 글로벌 담배 기업의 주가가 줄줄이 뛰고 있다.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무연담배 등 대안 제품 판매가 늘면서 주가 상승세에 불이 붙었다.글로벌 1위 담배기업 필립모리스는 지난 23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1.69% 오른 178.1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이 기업은 올 들어 47.14% 급등했다. 같은 기간 S&P500지수가 1.12% 내린 것과 대조적이다. 담배 브랜드 ‘말버러’로 유명한 알트리아는 올 들어 13.77% 상승했다.영국 런던증시에선 글로벌 2위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가 올 들어 12.53% 올라 영국 FTSE100지수 상승폭(5.54%)을 두 배 웃돌았다. 이날 이 기업의 미국 주식예탁증서(ADR)는 뉴욕증시에서 1.39% 오른 45.22달러에 마감해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ADR은 미국에 본거지를 두지 않은 기업이라도 미국 증시에서 주식이 거래될 수 있도록 미국 예탁기관이 발행하는 증서다.이들 담배 기업은 지난해 상반기까지 하락세를 탔다. 주력인 연초 담배 시장이 세계적으로 쪼그라든 영향이다. 하지만 최근엔 무연담배와 액상형 전자담배 등 대안 제품 판매를 늘리며 반등에 나서고 있다.니코틴을 고체 형체로 뭉친 뒤 주머니에 넣어 잇몸과 입술 사이에 넣는 식으로 쓰는 ‘니코틴 파우치’도 새 먹거리 역할을 하고 있다. 니코틴 파우치는 한국에선 정식 판매되지 않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는 올해 54억달러 수준인 미국 니코틴 파우치 시장이 2030년 197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필립모리스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8% 늘었다. 무연 부문 매출이 16.7% 급증한 영향이다. 올 1분기엔 이 부문 매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