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베트남펀드 모두 지수에 뒤져
브라질 증시 3.7% 올랐지만 9개 펀드 수익률은 0.54% 그쳐
"인덱스펀드·ETF 투자가 대안"
올 들어 신흥국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펀드들이 해당 국가의 대표 지수보다 낮은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한 명의 펀드매니저가 수십 개 국가를 맡아 투자하는 등 신흥국 펀드가 부실하게 운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면밀한 분석 없이 투자”
1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7일까지 브라질 대표 주가지수인 보베스파지수가 3.72% 올랐지만 국내 자산운용사의 브라질펀드 평균 수익률은 0.54%에 그쳤다. 전체 9개 펀드 가운데 보베스파지수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펀드는 ‘프랭클린브라질’(4.96%) 한 개에 불과했다. ‘미래에셋브라질업종대표’ 펀드(-3.13%)는 손실을 냈다.
베트남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도 ‘시장(대표 주가지수)’을 이기지 못했다. 베트남 호찌민(VN)지수가 올해 17.71% 상승하는 동안 펀드 수익률은 이보다 4.03%포인트 낮은 평균 13.68%에 그쳤다. 11개 펀드 중 호찌민지수보다 높은 상승률을 나타낸 펀드는 한 개도 없었다. 인도네시아 역시 대표 주가지수인 IDX종합지수의 상승폭(연초 이후 9.78%)이 펀드 수익률(7.24%)을 앞질렀다.
전문가들은 ‘특정 국가가 유망하다’는 판단이 서면 너도나도 ‘붕어빵’ 펀드를 찍어내는 운용업계 관행이 수익률의 발목을 붙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업계에서는 인력 부족을 이유로 한 펀드매니저에게 여러 국가의 투자를 맡기는 일이 많다. 신준형 IBK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중국과 베트남, 인도, 라틴아메리카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 5개와 글로벌 고배당 펀드 등 총 8개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김종육 한화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글로벌 헬스케어펀드에다 동유럽, 일본 지역 투자도 병행하고 있다. 전재현 키움자산운용 펀드매니저도 중국과 동유럽, 러시아펀드를 혼자 맡는 등 투자 영역이 지나치게 넓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 자산운용사의 펀드매니저는 “해당 국가의 거시경제 상황과 주식시장에 속한 기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 없이 시가총액 상위 기업에 기계적으로 투자하는 일이 많다”며 “이렇다 보니 효과적인 위험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흥국은 ETF 투자가 유리”
여러 국가에 투자하다 보니 시장 상황에 맞춰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의 펀드매니저는 “아시아 신흥국과 북·중미 지역을 함께 맡으면 24시간 내내 일하지 않는 이상 장중에 주식을 사고파는 게 불가능하다”며 “종가로 거래를 주문해 놓고 퇴근하는 일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시장 규모가 크고, 해당 지역의 전문인력이 다수 있는 미국 일본 중국 인도 펀드는 올해 좋은 성과를 냈다. 중국 주식형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연초 이후 지난 7일까지 17.17%로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상승률(10.13%)과 상하이A지수 상승률(3.53%)을 넘어섰다. 유럽 주식형펀드 수익률(10.11%)도 유로스톡스50(EURO STOXX 50) 상승률인 5.21%를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시장 규모가 크지 않은 신흥국 펀드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게 낫다고 조언한다. ‘KINDEX인도네시아MSCI상장지수’ ETF는 연초 이후 11.95% 올라 대표 주가지수를 크게 앞섰다. ‘KINDEX베트남VN30상장지수’ ETF는 베트남 시장에 투자하는 펀드 가운데 전체 2위(17.48%) 수익률을 올렸다.
올해 12월부터 개인 투자자가 해외 장내파생상품과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상장지수증권(ETN) 등에 투자하려면 일정 시간 이상의 사전교육과 모의 거래를 이수해야 한다.금융투자협회는 해외 고위험 상품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고 25일 밝혔다.협회에 따르면 최근 해외 파생상품 및 레버리지 ETF·ETN 등 ETP(상장지수상품) 투자가 확대되고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개인투자자는 작년 해외 파생상품 투자에서 3899억원 손실을 봤다. 5년 연속 대규모 손실을 내고 있는 것이다.해외 레버리지 ETP에 투자하는 개인도 증시 변동성 확대로 인한 손실 우려에도 과도한 추종 매매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0년 15만6000좌에 그쳤던 해외 레버리지 ETP 거래 계좌는 작년 196만7000좌로 급증했다.이에 협회는 해외 파생상품을 신규로 거래하려는 개인투자자에 대해 투자 위험이나 구조 등을 설명하는 사전교육 및 실제 거래와 유사한 모의 거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사전교육과 모의 거래 이수 시 인증번호를 부여해 이를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에 입력해야 주문 제출을 할 수 있는 구조다.증권·선물사는 투자자 성향과 관련 금융 상품 거래 경험, 연령 등에 따라 사전교육은 1~10시간, 모의 거래는 3~7시간 내에서 차등 작용할 계획이다.예를 들어 공격투자형이 아니거나 65세 이상 투자자는 사전교육 10시간, 모의 거래 7시간이 적용된다.해외 레버리지 ETF·ETN을 신규로 거래하기 위해서도 1시간의 사전교육을 이수해야 주문을 제출할 수 있게 된다.해외 레버리지 ETP 투자는 파생상품과 달리 원본 초과 손실 가능성이 없고 거래방식도 일반적인 주식 매매와 같기 때문에
증권시장에서 삼양식품과 오리온의 주가가 고공 행진하고 있다. 해외 사업 호조가 주가를 끌어올렸다.지난 23일 삼양식품 주가는 114만3000원을 기록했다. 2023년 초 11만5000원 선이던 주가가 2년여 만에 10배 가까이 급등한 것이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의 세계적 인기로 올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분기 영업이익률(25.3%)도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초코파이를 판매하는 오리온도 비슷한 분위기다. 지난 1년간 주가 상승폭이 20.09%를 나타냈다. 1분기 내수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1.6% 늘어나는 데 그치는 동안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지로의 수출 규모가 23% 증가한 영향이다.반면 내수에만 집중한 식품기업들은 주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자 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경쟁 압력은 높아지고, 주요 원료 가격은 오르는 등 악재가 겹친 결과다. 내수 비중이 전체 매출의 92%에 달하는 롯데웰푸드는 지난 1년간 주가가 26.74% 빠졌다.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6% 줄어드는 등 실적이 악화했다. 내수 비중이 89% 수준인 오뚜기도 지난 1년간 주가가 13.36% 내렸다.선한결 기자
최근 필립모리스,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 등 글로벌 담배 기업의 주가가 줄줄이 뛰고 있다.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무연담배 등 대안 제품 판매가 늘면서 주가 상승세에 불이 붙었다.글로벌 1위 담배기업 필립모리스는 지난 23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1.69% 오른 178.1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이 기업은 올 들어 47.14% 급등했다. 같은 기간 S&P500지수가 1.12% 내린 것과 대조적이다. 담배 브랜드 ‘말버러’로 유명한 알트리아는 올 들어 13.77% 상승했다.영국 런던증시에선 글로벌 2위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가 올 들어 12.53% 올라 영국 FTSE100지수 상승폭(5.54%)을 두 배 웃돌았다. 이날 이 기업의 미국 주식예탁증서(ADR)는 뉴욕증시에서 1.39% 오른 45.22달러에 마감해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ADR은 미국에 본거지를 두지 않은 기업이라도 미국 증시에서 주식이 거래될 수 있도록 미국 예탁기관이 발행하는 증서다.이들 담배 기업은 지난해 상반기까지 하락세를 탔다. 주력인 연초 담배 시장이 세계적으로 쪼그라든 영향이다. 하지만 최근엔 무연담배와 액상형 전자담배 등 대안 제품 판매를 늘리며 반등에 나서고 있다.니코틴을 고체 형체로 뭉친 뒤 주머니에 넣어 잇몸과 입술 사이에 넣는 식으로 쓰는 ‘니코틴 파우치’도 새 먹거리 역할을 하고 있다. 니코틴 파우치는 한국에선 정식 판매되지 않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는 올해 54억달러 수준인 미국 니코틴 파우치 시장이 2030년 197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필립모리스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8% 늘었다. 무연 부문 매출이 16.7% 급증한 영향이다. 올 1분기엔 이 부문 매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