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바닥 찍었다…'최악'의 부동산, 반등 조짐 보인 선진국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OECD 37개 회원국 명목 주택 가격 2.1% 상승
고금리에 하락했던 집값, 금리 인하 기대에 반
고금리에 하락했던 집값, 금리 인하 기대에 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37개 OECD 회원국의 지난해 3분기 명목 주택 가격은 직전 분기 대비 2.1% 상승했다. 주택 가격 하락이 나타난 국가는 전체의 약 3분의 1에 불과했다.
연초까지만 해도 OECD 회원국 절반 이상에서 집값이 내려앉은 바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을 비롯한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수십 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의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큰 폭으로 조정받은 것이다. 2022년 말 OECD 회원국들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0.6%로, 2012년 이후 가장 낮았다.

영국 경제 연구기관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앤드루 위샤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최근의 데이터를 보면 대부분 국가에서 집값이 바닥을 쳤다고 판단된다”며 “주택 가격은 충분히 조정받았다”고 분석했다. 그는 “독일, 덴마크, 스웨덴 등 주택임대시장이 비교적 큰 나라에선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지만, 이들 국가에서도 집값 하락기는 대부분 이미 지나갔다”고 덧붙였다.
미 자산운용사 티로우프라이스의 토마스 비엘라덱 이코노미스트도 “많은 국가에서 집값이 바닥을 찍고 회복하는 중”이라며 “영국, 캐나다, 호주 등 국가에선 이민자가 늘고 건축 허가가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집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경기 침체와 더불어 부동산 시장 고평가 논란 등이 일고 있는 독일에선 10.2% 꺾였다. 독일은 룩셈부르크를 제외한 유럽연합(EU) 국가 중 최악의 상황이다. EU 전체 집값은 연간으로 1% 하락했지만, 지난해 3분기 0.8% 소폭 상승했다.
S&P글로벌레이팅스의 실뱅 브로이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일부 국가의 모기지 금리가 여전히 높은 데다 고점에 머물러 온 건축비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유럽의 집값 조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면서도 “아마도 최악의 상황은 지났을 것이며, 완만한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서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