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랠리' 시동 꺼지며 혼조…애플만 최고가 행진 [뉴욕증시 브리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M7' 중 애플 외 모두 하락
바리스타 파업에 스타벅스 8일째↓
바리스타 파업에 스타벅스 8일째↓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77포인트(0.07%) 오른 4만3325.80을 기록했다. S&P500지수는 2.45포인트(0.04%) 내린 6037.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77포인트(0.05%) 밀린 2만20.36에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이 주춤한 건 예상보다 강했던 크리스마스 이브 실적이 차익 실현 욕구를 키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산운용사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에 따르면 성탄절을 하루 앞두고 조기 폐장한 지난 24일, S&P500지수는 1.10% 오르며 크리스마스 이브 기준 1974년 이후 최고 실적을 거뒀다. 이번주 들어 크리스마스 휴장 전까지 2거래일간 S&P500지수는 1.8%, 나스닥지수는 2.3%, 다우지수는 1% 각각 상승했다.
이에 투자자들은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를 키웠었다. 산타 랠리는 성탄절 직전부터 이듬해 초까지 미국 주가지수가 오르는 현상을 뜻한다. 하지만 하루 만에 산타 랠리의 시동이 꺼지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날 대형 기술주로 구성된 이른바 '매그니피센트7(M7)' 종목 중 애플(0.32%)을 제외하면 모두 뒷걸음질 쳤다. 애플은 장중 260.1달러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재차 경신한 데 이어 최고 종가 기록까지 새로 썼다. 종가 기준 나흘 연속 신기록이다. 애플 시가총액은 3조9190억달러까지 커지며 4조달러를 목전에 뒀다.
이밖에 테슬라(-1.76%)를 제외한 6종목의 등락폭은 1% 미만에 그쳤다. 이날 엔비디아는 0.21% 내리면서 4거래일 연속 상승세에서 하락 전환했다.
LPL 파이낸셜은 "M7은 미국 대선 이후 지금까지 전체적으로 20%가량 상승했다"며 "S&P500의 시총 가중지수와 동일 가중지수를 모두 크게 앞지르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들 7대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는 지난달 5일 이후 S&P500지수가 4.5% 이상 오르는데 85%가량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명품 브랜드 코치 모기업 태피스트리는 전장보다 1.38% 높은 66.30달러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 종가 기록을 세웠다. 일본 자동차 2위 기업 혼다와 3위 닛산의 합병 논의가 본격화한 후 미국 증시에 상장된 혼다는 4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날 4.11% 오르며 최근 5거래일 수익률은 20%를 넘어섰다. 2008년 12월 기록한 최고의 주간 상승률(19%)을 16년 만에 깨뜨렸다.
비트코인이 내림세를 보이면서 이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으로 유명한 마이크로스트래티치는 4.78%,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1.86% 떨어졌다. 하지만 개인 투자자 중심의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는 2.02% 상승했다.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는 연말 대목에 매장 바리스타들의 파업이 미국 내 45개 주 300여 매장으로 확대돼 주가가 8거래일 연속 내리막을 탔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이브부터 반등하기 시작해 이날은 2.17% 올랐다.
대표적 밈(meme) 주식 게임스탑은 5.94% 오르며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수익률은 97.90%로 높아졌다. '대장 개미'로 일컬어지는 개인투자자 키스 길이 크리스마스 아침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에 아무런 코멘트 없이 선물 사진 한 장을 올려 팔로어들의 관심을 집중시킨 영향으로 해석됐다.
업종별로 보면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중 필수소비재(0.03%)·금융(0.21%)·헬스케어(0.16%)·산업재(0.06%)·부동산(0.14%)·테크놀로지(0.08%) 등이 반면, 임의소비재(0.64%)·에너지(0.1%)·소재(0.18%)·통신서비스(0.36%)·유틸리티(0.27%) 등은 내렸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노동시장 악화 우려를 키웠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15~21일) 신규 실업보험을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 21만9000명으로 전주 대비 1000명 줄면서 한 달 만의 최저치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난 14일로 끝난 주까지 연속으로 실업보험 청구자는 191만명으로 전주보다 4만6000명 늘며 2021년 11월 후 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188만명)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같이 상반된 결과는 미 노동시장에서 아직 해고가 늘고 있진 않지만, 한 번 실업 상태가 되면 다시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미 중앙은행(Fed)이 내년 1월 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할 확률은 12.8%, 동결은 87.2%로 반영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46포인트(3.22%) 높은 14.73을 나타냈다.
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