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운 10~20% 보편관세 부과 계획은 꺼내지 않았다. 취임사에서 “미국 근로자와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즉각 무역 시스템 점검을 시작하고 대외수입청을 설립해 외국에 관세와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했지만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할지는 밝히지 않았다.

취임식 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보편관세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도 “아직은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방식을 결정하기만 하면) 빠르게 시행할 수 있다”고 했다.

미국의 현재 평균 관세율은 2%대에 불과하다. 이 중 상당 부분은 대중국 관세로 인한 것으로, 중국을 제외한 나라의 관세율은 1%대에 그친다. 이런 상황에서 10~20% 보편관세를 실시하면 물가 상승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는 보편관세를 ‘어떻게’ 도입하느냐를 두고 여전히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첫날 행정명령에 그가 공약한 새 관세가 없었던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의제에 대해 새 행정부 내에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지명자는 보편관세 대상에서 일부 부문을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스티븐 밀러 등 강경파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대로 전면적인 보편관세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한경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