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전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서울 모습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역사박물관 '1945·1946년 서울 항공사진' 발간
특수 냉장시설 속 미군 '서울 항공사진' 국내 첫 공개
특수 냉장시설 속 미군 '서울 항공사진' 국내 첫 공개

23일 서울역사박물관은 학술총서 '1945·1946년 서울 항공사진'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총서는 2020년부터 진행된 미국 소재 서울학 자료 조사의 네 번째 결과물이다.
박물관과 서울학 관련 민간연구기관인 용산학연구센터가 공동 협업해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지도 분과의 1940~50년대 서울 항공사진을 조사했다.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소장 서울 항공사진에 대한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해방 전후 미군에 의해 생산된 항공사진의 촬영 맥락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또 접근이 어려웠던 원본 필름을 스캔한 자료들을 조사, 연구해 소개했다는 설명이다.
박물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공개되는 서울 전역의 항공사진은 1970년대 이후의 사진이 대부분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가장 이른 시기도 1947년도이고 이마저도 서울 전역이 아닌 일부 지역에 한정됐다. 서울역사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공개되는 자료는 서울 항공사진의 시계열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나다"고 전했다.
조사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촬영된 건 1945년 1월 18일자 항공사진이다. 이외 고해상도로 포착된 1946년 10월 16일과 11월 14일자 항공사진도 공개됐다.




서울의 옛 지형 정보도 엿볼 수 있다. 특히 변화 이전 물길의 모습이 잘 담겨있다. 과거 중랑천은 지금과는 달리 배봉산의 동편을 따라 흘러 중랑천 너머 동쪽에 장안벌이 펼쳐지는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1946년 촬영 항공사진에서는 장안평 서쪽으로 흐르던 중랑천의 옛 물길 흔적이 확인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2010년부터 국내외 흩어져 있는 서울학 자료를 발굴, 조사하여 학술총서로 발간해오고 있다. 학술총서 발간 사업은 해외에서 잊혀지거나 접근이 어려워 잘 알려지지 않은 서울학 자료를 선제적으로 발굴, 조사하여 시민들에게 공유하는 작업이다.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일제강점기 말에서 해방 직후에 이르는 시기 옛 서울의 모습을 기록한 서울 항공사진이 1940년대 서울학 자료의 공백을 보완하고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번 학술총서는 서울역사박물관 뮤지엄숍과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오유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