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기'종기 모여앉아 겨울 간식 나눠먹던 옛 추억을 소환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예 완상
겨울의 맛과 정서 부르는 그릇, 옹기
음식에 제철이 있듯 그릇도 마찬가지
겨울철 찐 고구마와 옹기가 찰떡궁합
노릇노릇한 전·새해 떡국도 잘어울려
한국 식문화 우수성 키운건 8할이 옹기
간장·된장·고추장 등 제조·보관 필수품
가전 기업 김치냉장고 뒤엔 '옹기 연구'
겨울의 맛과 정서 부르는 그릇, 옹기
음식에 제철이 있듯 그릇도 마찬가지
겨울철 찐 고구마와 옹기가 찰떡궁합
노릇노릇한 전·새해 떡국도 잘어울려
한국 식문화 우수성 키운건 8할이 옹기
간장·된장·고추장 등 제조·보관 필수품
가전 기업 김치냉장고 뒤엔 '옹기 연구'


땅 깊숙이 파묻어 두었던 옹기 독 속 맑은 동치미 국물
소한(小寒)과 대한(大寒) 겨울부터는 아삭아삭한 식감이 살아있는 채소를 먹기 어렵다. 요즘에는 비닐하우스와 과학적 재배로 사시사철 샐러드와 나물, 과일을 먹을 수 있다. 하지만 예전 우리는 김치나 찬 바람에 걸어 둔 시래기 무청과 황태, 가을부터 겨우내 말린 곶감, 밭에서 거둔 감자와 고구마 등을 준비하지 않으면 겨울에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하기 쉽지 않았다. 땅 깊숙이 파묻어 둔 옹기 독을 열어 살얼음 낀 동치미를 꺼내 무를 숭덩숭덩 썰고 톡 쏘는 사이다 같은 맑은 동치미 국물에 국수도 삶아 만다. 뜨끈한 군고구마, 구운 가래떡과 같이 먹으면 겨울 진미가 따로 없다. 입 안이 얼얼하게 차갑고 미간이 찡긋해져도 겨울이 아니면 느끼지 못할 강력한 시원한 맛이요, 감성이다.
이 모든 것과 어울릴 우리 겨울나기 공예품을 하나만 꼽아보라면 옹기(甕器)가 제격이다. 숨을 쉬는 ‘옹기’의 효능이야 익히 알려진 바다. 우리나라 식문화에서 빠지면 안 될 3대 필수장인 된장, 간장, 고추장의 제조와 보관뿐 아니라 김치로 대변되는 한국 식문화는 과연 옹기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아무리 김치냉장고 성능이 뛰어나고 편리하다고 해도 대기업이 지속해서 옹기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플라스틱을 대신할 보관 용기를 옹기로 개발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보면 신기술로도 대체 불가한 옹기 특유의 맛과 정서의 힘이 분명히 있는 것 같다.
백자는 깨끗해도 왠지 재미가 없는 반면 옹기는 …
시중 가장 인기 있는 식기는 백자(白磁)다. 백자는 발색과 강도가 우수해 사용성이 좋고 상차림을 환하게 해준다. 형형색색 식재료와 붉은 양념이 많은 한식의 배경 역할을 톡톡히 한다. 그러나 백색은 깨끗해도 왠지 재미가 없다. 옛 어머니들은 옹기를 독뿐 아니라 일상의 다양한 기물, 식기로 사용했다. 요즘은 옹기를 현대화해 새로운 생활에 맞게 예술화하려는 작가의 시도가 많다. 지역별 기후와 식문화, 그 땅-흙의 성질에 맞게 연구를 거듭하고 디자인 감각을 더해 새로운 옹기를 만들고 있다.옹기의 유약은 가마 속에서 태운 재(灰)를 채취해다가 여러 날 물에 넣고 밑바닥에 가라앉은 것을 체에 걸러 사용한다. 생산성을 높이고 제작비를 아끼기 위해 반짝거리게 만든 광명단 옹기는 옛말이다. 요즘은 건강에 좋은 재료와 제작법으로 옹기를 만든다. 천연 유약을 고온의 불로 구워 예전보다 단단함도, 색채도 좋아졌다. 요즘 도예가들은 불을 때는 과정에서 벗겨지지 않는 그을음(탄화·炭化)을 입혀 전통 옹기와 비교해 색이 좀 더 어둡고 다소 금속과도 같은 표면을 도출한다. 작가들이 뜻을 모아 명맥이 끊어진 제주 지역 옹기를 복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다. 이 모두 장독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 시대의 새로운 예술, 쓰임으로 옹기를 제작하려는 의미 있는 창작이다.
같은 음식이라도 담아내는 그릇에 따라 맛과 향 달라

음식뿐 아니라 그릇에도 어울리는 제철이 있다. 나는 유독 겨울에 옹기그릇에 음식을 담을 때 그에 어울리는 추억과 정서를 함께 식탁에 내어놓는 기분이다. 시골 출신이 아니라도 겨울 많은 눈이 내리는 날 옹기그릇을 보면 어느 집 장독대 위에 눈이 소복하게 쌓인 풍경이 떠오른다. 생각만 해도 포근하고 친근하다.
어릴 적 나의 어머니는 눈이 와서 바깥에 나가지 못하는 날, 그해 수확한 감이며 고구마, 밤, 옥수수 등을 항아리에 보관해 두었다가 겨울 간식으로 내주셨다. 한겨울에 맛보기 힘든 지난 계절의 수확물을 형제와 경쟁하며 허겁지겁 맛있게 먹느라 미처 깨닫지 못한 어머니의 살뜰함과 수고로움, 마음을 뒤늦게 가늠한다. 그립다. 그 옛날 독 안에 쟁여둔 먹거리와 살림 채비가 동날 즈음, 겨울을 보내고 봄을 기다리는 어른들의 마음이 어떠했을까.
지금 내게 옹기 장독대는 없다. 그 대신 한겨울 각자의 겨울나기에 분투할 식구들을 위해 테이블 위에 옹기 채반을 꺼내고 감과 귤을 넉넉하게 담아둔다. 용처와 사물의 모양이 달라도 그 안에 담는 인간의 마음이 다르지 않다.
홍지수 공예 평론가·미술학 박사·CraftMIX 대표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