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브르의 보물 오트 쿠튀르를 입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over Story
230년 사상 첫 <루브르 쿠튀르> 특별전
230년 사상 첫 <루브르 쿠튀르> 특별전

겨울의 파리는 자못 우중충하다. 잿빛 하늘에 추적추적 내리는 비, 옷깃을 여미게 불어대는 바람은 들뜬 마음을 짓누른다. 새로운 시대 감각을 배우고자 약 한 세기 전 파리 구석구석을 거닐던 나혜석은 이렇게 썼다.
“파리라면 누구든지 화려한 곳으로 연상하게 된다. 그러나 파리에 처음 도착할 때는 누구든지 예상 밖인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 첫인상은 화려한 파리라는 것보다 음침한 파리라고 안 할 수 없다.”
역설적이게도 겨울의 파리는 우울해서 더 값지다. 아름다움의 원천이 한층 돋보이곤 한다. 파리지앵이 자랑하는 예술과 패션 얘기다. 샹젤리제, 몽테뉴 거리에 늘어선 럭셔리 패션 하우스들과 불후의 명작이 걸린 루브르, 오르세 미술관은 회색빛 하늘 속에서도 반짝인다.

올 상반기 파리 예술계를 수놓은 패션 전시는 끝이 없다. 파리의 명소 그랑 팔레가 새해를 여는 전시로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돌체앤가바나에서 선보이는 ‘프롬 더 하트 투 더 핸즈: 돌체앤가바나’(~3월 31일)가 있다. 꽃과 식물로 일상을 채우며 패션 디자인에 접목한 감각을 엿보는 ‘이브 생로랑의 꽃’전은 파리 이브생로랑 박물관(~5월 4일)에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반클리프아펠이 푸른 빛 60여 점 오리지널 작품을 선보이는 ‘뉘앙스 드 블루(Les Nuances de Bleu)’전은 갈르리 뒤 파트리무안(~6월 30일)에서 열린다. 파리 16구의 패션 박물관 팔레 갈리에라에서 열리고 있는 ‘스티븐 존스, 아티스트의 모자’도 놓치면 아까운 전시다.
루이 14세 방 한복판 '디올'…나폴레옹 의자 옆엔 '지방시'
45명 패션 거장 총출동…현대 패션 100여점 전시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1949년

전시 시작점에서 가장 먼저 관람객과 만나는 디오르의 드레스가 이런 루브르의 의도를 짐작하게 한다. 이 작품은 디오르가 1949년 ‘뮈제 뒤 루브르(Musée du Louvre)’라는 이름을 붙인 이브닝드레스다. 하얀 바탕에 검은 무늬가 들어간 드레스는 “나는 꽃 같은 여성을 디자인했다”고 밝힌 디오르가 1947년 파리 몽테뉴가에 자신의 양장점을 연 이후 루브르의 장식 미학에서 여성미를 탐구했음을 알 수 있다.
요지 야마모토의 집착

카를 라거펠트가 디자인한, 69번을 단 샤넬의 드레스는 색감이나 장식 기법이 작품을 전시한 살롱의 18세기풍 가구와 잘 어우러진다. 라거펠트는 생전 마지막 샤넬 컬렉션에서 18세기 예술에서 영감을 받아 장식미술 형태의 드레스를 디자인하기도 했다. 색뿐만이 아니다. 재킷은 가구 표면의 동물과 꽃무늬를 그대로 옮겼고, 섬세한 자수 장식과 옷의 윤곽을 강조하는 부조 및 질감까지 옆에 놓인 앙쿠아뉘르(코너 캐비닛), 코모드(서랍장)를 그대로 재해석했다.

나폴레옹의 의자 옆에 지방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로 익숙한 나폴레옹 1세부터 나폴레옹 2세, 3세 시대의 살롱엔 화려한 의상이 가득하다. 나폴레옹 1세가 대관식에서 앉았던 푹신한 쿠션이 돋보이는 의자 옆엔 리 알렉산더 매퀸이 지방시에서 첫 컬렉션으로 선보인 의상이 배치됐다. 흰색과 금색으로 이뤄진 의상은 군복을 연상시키는 스타일과 과장된 퀼팅 소매가 마치 의자에 앉았던 황제가 일어서 있는 듯한 느낌이다. 눈부시게 화려한 나폴레옹 3세의 거처를 고스란히 옮겨놓은 살롱에서는 장 폴 고티에와 요지 야마모토가 디자인한 검은색 드레스가 눈에 띈다. “검은색은 겸손한 동시에 오만하다”고 말한 야마모토의 검은색에 대한 집착이 만들어낸 드레스는 장식적 화려함을 강조한 공간과 다소 이질적이지만, 그래서 존재감이 더 확연히 드러난다.

에펠탑 쓴 듯한 '괴짜 모자 장인' 파리를 홀리다
팔레 갈리에라 <스티븐 존스 40년 회고전>


전시에서는 존스가 그간 선보인 170점가량의 모자, 모자로 스타일링을 마친 40여 점의 룩, 영상과 디자인 등 400점이 넘는 작품을 볼 수 있다. 하나같이 현대미술처럼 현실을 뛰어넘은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구두가 모자가 되는가 하면, 안경이나 장갑을 머리에 쓸 수도 있다. 파리의 상징 에펠탑을 묘사한 검은 모자는 그 자체로 하이엔드 패션의 반열에 든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럭셔리 패션 하우스와 협업해 만든 작품들이다. 지방시부터 존 갈리아노, 루이 비통, 톰 브라운에 이르기까지 오트쿠튀르 컬렉션에 참여한 작품이 인상적이다. 그는 지난해 브리티시 패션 어워즈의 액세서리 디자이너상을 받았는데, 파리올림픽 개막식 때 레이디 가가가 착용한 깃털 장식 모자도 그의 작품이었다. 독특한 아이디어로 완성한 모양새와 풍부한 실루엣은 의상의 화려함을 강조하거나 단조로움을 완벽히 보완한다. 앞서 루브르 쿠튀르 전시의 1번 작품인 ‘뮈제 뒤 루브르’의 화룡점정인 에지 있는 머리 장식도 존스가 이번 전시를 위해 재현한 것이다.

1983년 런던을 떠나 동경하던 파리로 온 그는 장 폴 고티에와의 만남으로 패션계에 입문했다. 프랑스의 문화, 패션, 시대를 초월한 우아함에 매료된 그는 자신에게 많은 영감을 준 도시인 파리에 경의를 표하듯 프랑스 감성을 작품에 녹여냈다. 에펠탑과 나폴레옹의 모자, 파리 정원의 꽃과 성당 등의 건축물을 묘사한 모자, 베르사유에서 영감을 얻은 챙 넓은 모자까지. 제2의 고향과 같았던 파리를 향한 사랑이 한껏 드러난다. 전시는 3월 16일까지.
돌체와 가바나가 꿈꾼 '패션의 황금향'
돌체앤가바나 파리 월드투어展

이번 전시는 1200㎡ 규모의 몰입형 전시 공간을 10개의 방으로 나눴다. 마치 오페라 무대 같은 분위기를 내는 각 공간은 이탈리아 패션 세계의 우아함과 정교함, 유머, 대담함, 화려함으로 채워졌다. ‘라 돌체 비타(달콤한 인생)’ 그 자체이자 두 창립자의 예술적 비전을 통해 이탈리아에 보내는 한 편의 러브 레터와도 같달까.
전시는 돌체앤가바나 수석디자이너인 돌체와 가바나의 이탈리아 예술, 유산, 문화에 대한 애정과 영감이 가득 담긴 의상 약 200점, 수공 액세서리 장신구 300점, 그리고 약 130점의 앤티크 가구와 집기 등을 한자리에 모았다. 모든 것이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이탈리아 장인 정신이 영감의 원천이 돼 이탈리아 예술, 건축, 공예, 지역 문화, 음악, 오페라, 발레, 영화, 역사와 전통이 그 모든 작품에서 느껴진다.
시칠리아 출신인 돌체와 밀라노 출신 가바나가 1980년대 중반 설립한 돌체앤가바나는 이탈리아의 대표적 패션 브랜드 중 하나가 됐다. 재단사 아버지와 천을 파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돌체는 여섯 살 때 이미 첫 작품을 디자인했다. 어린 시절부터 인형에 관심이 많았던 가바나는 “인형이 패션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가르쳐줬다”고 말했다.
웅장한 샹들리에와 거울이 관람객을 맞이하고 그곳에 전시된 드레스는 크리스털로 수놓아졌다. 유서 깊은 유리 세공의 전통 무라노 장인들의 작품이 진열된 공간에서 그 명성에 걸맞은 화려함과 정교함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두 사람은 기하학적 패턴, 눈부신 모자이크 예술에서 여러 차례 영감을 받기도 했다. 오트쿠튀르 F/W 2017-18 컬렉션의 화려한 패치워크로 장식된 튜닉과 코트는 12세기 비잔틴 모자이크 예술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시칠리아 몬 레알레 대성당 앞에 패션쇼를 열어 선보였다. 베네치아에서 선보인 기성복 F/W 2021-22 컬렉션은 1888년 설립된 오르소니 베네치아 공방의 비잔틴 모자이크에 대한 찬사에서 탄생했다.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표범’ 속 드레스, 예수 그리스도를 모티브로 한 자수와 금속 조각 등은 경건하면서도 장엄하다.
40년의 짧은 역사로 돌체앤가바나가 지금의 위치에 오른 것은 이탈리아 문화와 예술을 존중하고 전통 장인 공예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아닐까. 돌체앤가바나 전시 큐레이터인 플로렌스 뮐러는 이렇게 말한다. “상상과 마법의 세계, 과거의 전설과 현실이 서로 얽혀 있는 돌체와 가바나의 세계로 들어가 보세요.”
전시는 3월 31일까지 계속된다.
파리=유승목 기자/파리=정연아 패션&라이프스타일 컨설턴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