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급락…美 전략비축 소식, 기대와 달라 투자자 '실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트럼프 대통령, '비트코인 전략비축' 행정명령 서명
몰수 비트코인, 비축금 전환...추가 매입 없다
실망감에 비트코인 급락...8만5000달러대로
"매도 압력 완화...장기적으로 긍정적"
몰수 비트코인, 비축금 전환...추가 매입 없다
실망감에 비트코인 급락...8만5000달러대로
"매도 압력 완화...장기적으로 긍정적"

6일(현지시간) 데이비드 삭스 백악관 인공지능(AI)·가상자산(암호화폐) 차르는 X(옛 트위터)를 통해 "오늘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라며 "이는 미국을 '가상자산의 세계 수도'로 만들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는 조치"라고 밝혔다.
이번 행정명령에 따라 미국 연방정부는 범죄 및 민사 몰수 절차를 통해 압수한 비트코인을 별도의 전략적 비축금으로 전환한다. 단, 추가 매입 없이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린다는 복안이다. 현재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약 20만개로 추정된다. 다만 공식적인 감사를 거친 적이 없어 미 정부가 보유한 가상자산에 대한 공식 회계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렇게 전환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금은 디지털 금고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한다. 비축된 비트코인은 매각하지 않고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삭스 차르는 "정부가 과거 성급하게 비트코인을 매각하면서 미국 납세자들은 이미 170억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정부 보유 자산의 가치를 극대화할 전략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외에도 몰수된 기타 가상자산을 보관하는 '미국 디지털자산 비축고(U.S. Digital Asset Stockpile)'도 설립한다. 정부는 추가적인 매입 없이 압수된 자산만 비축고에 포함할 예정이며, 관리 및 운영은 미 재무부가 담당한다. 아울러 미 재무부와 상무부는 예산 중립적 방식으로 추가적인 비트코인 확보 전략을 수립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신규 매입이 미국 납세자에게 추가 부담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비트코인 보유량을 확대할 수 있다는 조건이다.
시장은 이번 행정명령에 대한 실망감을 나타냈다. 미국이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자산으로 지정할 경우 정부의 추가 매입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기존 몰수 물량을 전환하는 것에 그쳤기 때문이다.
실제로 9만 달러를 상회하던 비트코인은 행정명령 서명 소식이 전해진 직후 급락, 8만5000달러대까지 하락했다. 이날 오후 12시 27분 현재 바이낸스 테더(USDT) 마켓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4.63% 하락한 8만7452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김병준 디스프레드 리서처는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 보유량 확대에 세금을 투입하지 않는다는 미 정부의 방침이 확인됐다"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매수 정책을 기대했던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매도세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번 행정명령이 비트코인의 가격에 단기적으로 좋은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라며 "다만 장기적으로는 미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을 매도할 것이라는 시장의 불안감을 완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코너 그로건 전 코인베이스 제품 전략 및 사업 운영 책임자는 7일(현지시간) X를 통해 "제 추정에 따르면 미 정부는 198.109만 BTC를 보유하고 있다"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비축자산 행정명령은 180억달러 상당의 매도 압력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황두현 블루밍비트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