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주가가 10일(현지시간) 하루 15% 넘게 폭락하자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는 공포에 휩싸였다. 국내 투자자 손실 규모는 최근 한 달 사이 약 10조원으로 불어났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15.43% 내린 222.15달러에 마감했다. 장 중 한때 220.66달러까지 추락했다. 이날 하루 낙폭은 2020년 9월 8일(-21.06%) 후 4년 반 만의 최대다. 테슬라 주가는 작년 12월 17일 사상 최고인 479.86달러까지 올랐다. 투자자들이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선거 운동에 앞장선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주목해 공격적으로 주식을 매수했다. 현재 주가는 고점 대비 53.7% 떨어졌다.

그동안 테슬라 주식에 높은 관심을 보인 국내 투자자의 보유 주식 잔액은 현재 165억3000만달러(약 24조1000억원)어치에 달한다. 전체 해외 주식 중 서학개미가 가장 많이 투자한 종목이다.

테슬라의 주가수익비율(PER)이 100배 넘게 치솟자 전문가들은 올해 초부터 과열 경고를 내놨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지난달 17일 한국경제신문 인터뷰에서 “테슬라는 BYD, 지리자동차 등 중국업체로부터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고 언제든 작은 계기로 폭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박 회장 인터뷰 이후 투자자 보호를 위해 지난달 말 테슬라 주식을 담보로 한 신규 대출을 중단했다. JP모간은 테슬라 목표주가를 현재의 절반 수준인 135달러로 깎았고, 웰스파고는 125달러를 제시했다.

이 같은 경고에도 국내 투자자는 최근 한 달 새 테슬라 주식을 1조2300억원어치, 테슬라 주가가 오르면 그 두 배의 수익을 챙기도록 설계된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볼 2X’ 상장지수펀드(ETF)를 1조200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ETF는 현재 고점 대비 5분의 1 토막 났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한 달간 국내 투자자의 손실액이 9조~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최만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