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어엑스 발사 성공…'3D 우주지도'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루 14.5번 지구 돌며 별 관측
물 등 외계생명체 필수요소 탐사한·미 합작 우주망원경 가동
물 등 외계생명체 필수요소 탐사한·미 합작 우주망원경 가동
국내 연구진이 개발에 참여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어엑스(SPHEREx)’ 우주망원경(사진)이 아홉 번에 걸친 시도 끝에 발사에 성공했다. 스피어엑스는 우주를 102개 색깔로 나눠 세계 최초로 ‘3차원 우주 지도’를 그릴 망원경이다.
스피어엑스는 한국시간 12일 낮 12시10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에 실려 발사됐다. 낮 12시52분께 분리돼 임무 고도인 650㎞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했다. 첫 교신에는 실패했지만 오후 1시30분 NASA의 근우주 네트워크 중 하나인 노르웨이 스발바르제도 지상국 센터와의 교신에 성공했다.
가로·세로 각각 3.2m, 높이 2.6m의 확성기 형태인 스피어엑스는 앞으로 약 37일간 초기 운영 단계, 즉 안정화 작업을 거친다. 이 기간에 광학 성능 검증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시험한다. 망원경의 자세 정밀 제어, 자체 복사 냉각 시스템 점검 등의 조치도 이뤄진다. 안정화 작업을 마친 후 스피어엑스는 약 25개월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스피어엑스의 특징은 인류가 관측할 수 있는 하늘 면적의 100%를 적외선 영역의 102가지 색깔로 촬영하는 인류 최초의 우주망원경이라는 점이다. 우리 은하 내부의 별 1억 개와 외부 은하 4억5000만 개 등 약 10억 개 천체의 물리적 정보를 담을 수 있을 것으로 NASA는 보고 있다.
약 138억 년 전 ‘빅뱅’ 직후 우주 급팽창 원인과 배경에 관한 중요한 단서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볼 수 없었던 어두운 은하 내 빛의 총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계 생명체 형성에 필요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찾는 임무도 받았다.
스피어엑스는 지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번 공전하며 우주를 600회 이상 촬영한다. 임무 운영 및 관제는 NASA의 고다드우주비행센터와 제트추진연구소(NASA JPL)에서 총괄한다. 스피어엑스는 NASA와 캘리포니아공대, BAE시스템스 등 12개 연구기관과 기업이 개발했다. 우주항공청 산하 천문연구원은 영하 220도의 우주 환경을 구현하는 지상 실험장비인 극저온 진공챔버 등을 제작했다.
강경주 기자 [email protected]
스피어엑스는 한국시간 12일 낮 12시10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에 실려 발사됐다. 낮 12시52분께 분리돼 임무 고도인 650㎞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했다. 첫 교신에는 실패했지만 오후 1시30분 NASA의 근우주 네트워크 중 하나인 노르웨이 스발바르제도 지상국 센터와의 교신에 성공했다.
가로·세로 각각 3.2m, 높이 2.6m의 확성기 형태인 스피어엑스는 앞으로 약 37일간 초기 운영 단계, 즉 안정화 작업을 거친다. 이 기간에 광학 성능 검증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시험한다. 망원경의 자세 정밀 제어, 자체 복사 냉각 시스템 점검 등의 조치도 이뤄진다. 안정화 작업을 마친 후 스피어엑스는 약 25개월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스피어엑스의 특징은 인류가 관측할 수 있는 하늘 면적의 100%를 적외선 영역의 102가지 색깔로 촬영하는 인류 최초의 우주망원경이라는 점이다. 우리 은하 내부의 별 1억 개와 외부 은하 4억5000만 개 등 약 10억 개 천체의 물리적 정보를 담을 수 있을 것으로 NASA는 보고 있다.
약 138억 년 전 ‘빅뱅’ 직후 우주 급팽창 원인과 배경에 관한 중요한 단서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볼 수 없었던 어두운 은하 내 빛의 총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계 생명체 형성에 필요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찾는 임무도 받았다.
스피어엑스는 지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번 공전하며 우주를 600회 이상 촬영한다. 임무 운영 및 관제는 NASA의 고다드우주비행센터와 제트추진연구소(NASA JPL)에서 총괄한다. 스피어엑스는 NASA와 캘리포니아공대, BAE시스템스 등 12개 연구기관과 기업이 개발했다. 우주항공청 산하 천문연구원은 영하 220도의 우주 환경을 구현하는 지상 실험장비인 극저온 진공챔버 등을 제작했다.
강경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