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AI로 다시 한번 삶의 풍경을 바꾸고 새로운 미래의 문을 열겠습니다”

19일 카카오에 따르면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는 18일 열린 ‘원 카카오 서밋’ 행사에서 “15년 전 카카오는 모바일 혁명기 초입에 뛰어들어 사람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카카오의 창사 15주년을 맞아 경기 용인시의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주요 회사 임원들이 모인 경영 워크숍이다.

김범수 창업자가 물러나며 카카오 CA 협의체의 단독 의장을 맡은 정 대표를 비롯해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등 16개 계열사 대표 및 CA협의체 위원장 등 160여명의 임원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엔드 투 앤드(End to And)-새로운 15년, 다시 시작점에 서다’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됐다.

정 대표는 인공지능(AI)으로 급변하는 최근 기업 경영 환경을 ‘이노베이션 윈도’으로 설명했다. 이는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일시적으로 열리는 혁신의 기회를 뜻한다. 정 대표는 “전 세계 테크 기업은 새로운 AI 기술과 서비스를 쏟아내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하지만 모바일 시대의 카카오톡처럼 일반 대중의 일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서비스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카카오가 AI 대중화에 집중하는 이유다.

정 대표는 AI 대중화를 위한 카카오의 세 가지 전략 방향도 제시했다. △자체 개발한 ‘카나나’부터 오픈AI의 GPT까지 다양한 AI 모델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 △메시징·금융·모빌리티 등 그룹 내 주요 서비스를 하나로 엮는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생태계 비전 △사용자의 일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심층 데이터 구축 등을 내세웠다.

정 대표는 “한정된 자원으로 글로벌 빅테크들과 국경 없는 경쟁을 벌여야 하는 만큼 ‘일단 해 보자’ 방식의 접근은 위험하다”며 “높은 수준의 시장 이해에 기반한 명확한 방향 설정, 효율적이고 속도감 있는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회사 임원들에겐 AI 시대에 걸맞은 신중하고 대담한 리더십을 거듭 강조했다. 최근 카카오는 김 창업자가 건강상 문제로 경영 일선을 떠나며 정 대표 단독 체제로 재편됐다. 오픈AI와 협업 등으로 AI를 기존 서비스에 효율적으로 도입해 성장 동력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김주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