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알리익스프레스
사진=알리익스프레스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한국 시장 진출이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캐나다·멕시코 등의 수입품에 대한 소액면세제도 개편에 나설 것으로 보여서다. 미국 시장 접근이 어려워진 중국이 한국을 우회수출 경로로 활용하면 한국도 수입 제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24일 업계 등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지난달 중국·캐나다·멕시코 수입품에 대한 면세 조치를 뜻하는 '소액면세제도'를 폐지하기로 발표했지만 일단 유지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 제도는 개인이 사용하기 위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제품의 경우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미국으로 유입되는 소포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 기준 연간 646억달러에 이른다. 이 중 중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이상이다.

미국 의회엔 2023년부터 이달까지 공화당과 민주당 소속 상·하원 의원들이 발의한 소액 면세 제도 개편 관련 법안만 총 5건이 계류 중이다. 올해 들어 발의된 2건은 대중국 소액면세제도를 즉각 폐지하거나 나머지 국가에 대해서도 점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미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시장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소액 면세 제도가 폐지된다면 미국 시장을 대체하기 위해 중국 업체들이 한국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대미 수출을 위한 우회 경로로 한국을 활용하면 미국 수입 제재 대상에 한국이 포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무협은 "미국은 중국의 우회 수출 조사를 강화할 필요성을 이미 인지하고 있다"며 "한국발 제품 조사가 엄격해지면 배송 지연, 규제 준수 비용, 무역 갈등 등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윤식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 "디지털 활용 능력이 높고 동일 연령대 중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매력을 보이는 미국 60대 이상 인구를 공략하는 등 소비시장을 세분화하고 계층별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 수석연구원은 "국내 소비자와 플랫폼을 강화하고 중국의 우회 수출과 투자로 인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주요국 사례를 참고해 소액 면세 제도를 개편하는 등 해외직구 증가에 따른 소비자 안전 강화와 국내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