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EPA연합뉴스)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에 대해 캐나다가 크게 반발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미국과의 관계는 이제 끝났다”고 선언하며 보복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캐나다는 총수출의 75%가 미국으로 향할 만큼 미국 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을 것”

27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미국 정부의 관세 대응을 위한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기자 회견에서 “경제 통합, 긴밀한 안보·군사 협력을 기반으로 한 미국과의 기존 관계는 끝났다”며 “미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포괄적인 협상을 통해 일부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에는 최대한의 영향을 주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보복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우리의 안보 및 무역 관계를 폭넓게 재협상할 때가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FT는 카니 총리가 트럼프 1기 시절 체결된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협정(USMCA)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카니 총리는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의 윤곽이 드러난 후 종합적인 대응책을 내놓을 전망이다. 카니 총리는 “미국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일련의 조치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를 각각 대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우리는 일주일 후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때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결국 미국 노동자들과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트럼프와 통화 앞둬…‘주권 존중’ 강조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하루 이틀 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할 예정이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 캐나다 주권 존중을 언급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합병하겠다”고 위협하며 관세 압박과 더불어 캐나다 내에서 반미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 카니 총리는 “우리의 주권을 존중해달라는 것은 우리 입장에선 그리 대단한 요구가 아니지만, 그에겐 큰 문제인 듯하다”며 “따라서 그러한 존중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카니 총리는 지난 15일 쥐스탱 트뤼도 총리를 뒤를 이어 집권 여당 자유당 대표에 오르면서 총리에 취임했다. 캐나다는 다음 달 28일 조기 총선을 치른다. 트뤼도 전 총리가 물가 상승, 이민자 유입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지지율이 폭락하면서 다음 총선에서 야당인 보수당이 득세할 것으로 점쳐졌지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카니 총리의 지지율 상승으로 분위기는 달라졌다.

CBC뉴스가 각종 여론조사를 집계해 발표하는 여론조사 트래커에 따르면 자유당의 지지율은 26일 기준 40.2%로 보수당(37.3%)을 앞섰다. 자유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할 확률은 69%로, 보수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할 확률은 1%로 CBC뉴스는 각각 예상했다. 로이터 통신은 “최근 여론조사 결과는 카니 총리가 이번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둘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