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대신 기억을 품은 울마 가족의 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배세연의 스페이스 오디세이
폴란드 마르코바에 위치한
'울마 가족 추모 박물관'
(The Ulma Family Museum of Poles Saving Jews in World War II)
희생된 한 ‘가족’에서 출발해
폴란드인과 유대인들의 이야기를 담다
폴란드 마르코바에 위치한
'울마 가족 추모 박물관'
(The Ulma Family Museum of Poles Saving Jews in World War II)
희생된 한 ‘가족’에서 출발해
폴란드인과 유대인들의 이야기를 담다
"도대체 왜 인간은 한쪽에서는 더욱 큰 비행기와 대형 폭탄을 만들면서 또 다른 쪽에서는 살기 위해 조립식 주택을 만드는 걸까요? 매일 전쟁을 위해 수백만 달러라는 거금을 쓰면서, 의료시설이나 예술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쓸 돈은 없다고 하는 건 왜일까요? 세계의 어느 곳에서는 먹을 게 남아돌아 썩는 일도 있다는데, 왜 한편에서는 사람들이 굶어 죽어야 하는 걸까요? 도대체 인간은 왜 이렇게 어리석을까요?"*
‘안네의 일기’ 중 일부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를 피해 은신처에 숨어있던 안네라는 한 사람은 하루하루 생명의 위협을 느끼면서도 자신의 생각과 일상에 대해 기록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렇기에 일기에서는 한 소녀의 생에 대한 의지가 담긴 문장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에 대한 소식들에서 우리는 민족 단위 혹은 특정 집단의 단위로 누가 희생되었는지 알게 된다. 하지만 그 단위를 풀어헤쳐 보면 거기에는 무수히 많은 개인의 삶과 이야기가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는 다른 메모리얼이 2016년 3월, 폴란드의 작은 마을인 마르코바(Markowa)에 등장했다. ‘울마 가족 추모 박물관(The Ulma Family Museum of Poles Saving Jews in World War II)’은 1944년 3월 24일에 울마 가족과 이들이 숨겨주고 있던 유대인들까지 총 17명을 나치가 총으로 쏘아 죽인 사건을 중심에 두고 있다. 이곳은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폴란드에서 유대인을 구출한 사람들을 기리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지만, 여기에 한 가족을 전면에 등장시킴으로써 지금까지의 메모리얼과는 다른 기념 방식을 보여준다.



이곳은 울마 가족에게 집중된 전시 공간으로, 문서, 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가족의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 박스는 건물 파사드에 크게 형성되어 있는 유리 벽 (입구를 겸하는) 너머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박스 외면에 새겨져 있는 가족의 이미지를 외부에서도 볼 수 있게 한다. 집 안에 가족이 있는 것 같은 모습이 사람들에게 직관적으로 전달되어 기념해야 하는 대상에게 쉽게 이입할 수 있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