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 대응 나선 당국 "100조 규모 시장안정 프로그램 집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원회-5대 금융지주 금융상황점검회의
김 위원장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지원에 금융사가 더 적극적 역할" 당부
기업 애로 실시간 소통하는 민관 금융정책 협의체도 구성
김 위원장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지원에 금융사가 더 적극적 역할" 당부
기업 애로 실시간 소통하는 민관 금융정책 협의체도 구성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 및 정책금융기관 수장들과 금융상황점검회의를 하고 이런 방침을 내놨다.
김 위원장은 "지난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다음 정부 출범까지 남은 2개월간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당국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약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준비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기존 정책들은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장안정프로그램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채안펀드)와 10조원대 증시 안정펀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건설업 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금융당국은 통상전쟁에 대응하고 주력 기업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 중인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참석자들에게 "금융지주사와 정책금융기관들이 중심이 돼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지원에 더 적극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현장에서 거래 기업들의 상황과 영향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한 자금공급과 지원이 적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달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미국 관세정책 등 국제 정세가 국내 기업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민관 금융정책 협의체 구성을 추진한다. 실무자급부터 임원급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협의체는 현장과 정부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김 위원장은 "민간 금융사 및 정책금융기관이 현장에서 접하는 문제와 개선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신속히 검토해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강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