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금융당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집행에 본격 착수한다. 현장 기업의 목소리를 정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민관 정책협의체 구성도 추진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 정책금융기관 수장 등과 금융상황점검회의를 하고 이런 방침을 내놨다.

김 위원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다음 정부 출범까지 남은 2개월간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당국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준비와 집행에 온 힘을 쏟고, 기존 정책은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장안정프로그램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와 10조원대 증권시장안정펀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건설업 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금융당국은 통상 전쟁에 대응하고 주력 기업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 중인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참석자들에게 “금융지주사와 정책금융기관이 중심이 돼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 지원에 더 적극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현장에서 거래 기업들의 상황과 영향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한 자금 공급과 지원이 적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달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미국 관세정책 등 국제 정세가 국내 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민관 금융정책 협의체 구성도 추진한다. 실무자부터 임원급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협의체는 현장과 정부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김 위원장은 “민간 금융회사 및 정책금융기관이 현장에서 접하는 문제와 개선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신속히 검토해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강현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