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불 관세에 위안화 절하 '강대강 대치'…中 "美와 끝까지 싸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율전쟁 방아쇠 당긴 中…무역분쟁 장기전 돌입
中당국 심리적 마지노선이던
'달러당 7.2위안'선 허물어
월가 "최대 30% 절하 가능성"
트럼프 "환율 조작" 비난하며
중국과 협상 문은 열어둬
中당국 심리적 마지노선이던
'달러당 7.2위안'선 허물어
월가 "최대 30% 절하 가능성"
트럼프 "환율 조작" 비난하며
중국과 협상 문은 열어둬

◇美·中 관세 난타전

미국의 50%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했다. 중국의 이번 보복 조치는 아시아 증시 마감 후 뉴욕증시 개장 전 나왔다. 중국 증시의 충격을 줄이면서 미국 증시에 타격을 극대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환율 무기’까지 꺼내
중국은 84% 보복관세에 앞서 위안화 가치도 절하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전날 그동안 지켜온 달러당 7.2위안 선을 허문 데 이어 이날도 위안화 환율을 전날보다 0.04% 높은 7.2066위안으로 고시하면서다. 위안화 가치는 6거래일 연속 떨어졌다. 외환시장 안팎에선 “중국이 환율 반격 카드를 꺼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 평가 절하에 나선 건 미국과의 관세전쟁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상쇄할 필요성이 커져서다.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면 중국산 제품의 수출 단가는 낮아진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관세 압박이 일부 상쇄된다.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중국에 관세를 부과했을 때도 중국은 위안화 가치를 10% 넘게 평가절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8일 공화당의회위원회(NRCC) 만찬 행사에서 “중국이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통화를 조작하고 있다”고 맹비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일각에선 앞으로 중국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 대응에 나서며 위안화 가치를 점진적으로 절하해 미국의 ‘관세 폭격’에 대응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에 응하길 기대하지만 중국은 쉽게 물러나지 않을 태세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미·중 양국이 무역 불균형 상태가 아니라는 주장을 담은 백서를 발간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이) 고집스레 관세전쟁·무역전쟁을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중앙TV(CCTV)도 “중국 정부가 발표한 ‘끝까지 간다(奉陪到底·펑페이다오디)’는 표현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기업과 국민의 반발을 부르고 결국 중국에 유리하게 끝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이혜인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