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규제 완화 기대로 상승세를 타던 미국 은행주 주가가 일제히 고꾸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 상호관세 공세로 기업들의 투자 활동이 크게 위축돼 기대심리가 역전된 모양새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주가가 14% 가까이 급락했다. 같은 기간 웰스파고와 씨티그룹 주가도 각각 12.9%, 13.1% 하락했다. 골드만삭스(-9.4%) 모건스탠리(-7.3%) JP모간(-3.7%) 등도 조정받았다.
대표적 트럼프 수혜주로 불린 미국 은행주 역시 상호관세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기업 투자와 민간 소비를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돼 트럼프 당선 이후 개선될 것으로 봤던 은행의 비이자수익이 오히려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JP모간과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미국 주요 은행의 비이자수익 비중은 30% 수준이다.
미국 대형 은행의 비이자수익은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수수료가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상호관세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져 기업들의 투자 활동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증시의 ‘롤러코스터 장세’가 장기화하면 IPO나 M&A 건수도 감소할 수밖에 없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전반적인 은행주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대손충당금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서다. 대손충당금은 경기가 침체했을 때 고객들이 대출 이자를 연체할 위험에 대비해 예상 손실금을 미리 적립해두는 것을 말한다.
안소은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형 은행주의 부진한 실적은 경기 침체 우려를 더 자극할 수 있다”며 “미국 은행의 비이자수익 부문 역시 미국의 상호관세로 성장 둔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진 미국 은행의 실적이 시장 전망치에 대체로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JP모간의 올해 1분기 매출은 453억1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441억1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주당순이익(EPS·5.07달러)도 전망치(4.63달러)를 넘었다. 모건스탠리는 1분기 매출(177억4000만달러)이 작년 대비 17%, 순이익은 26% 급증했다. EPS도 시장예상치(2.20달러)보다 높은 2.60달러를 기록했다. 웰스파고는 매출은 시장 기대치(207억5000만달러)에 못 미친 201억5000만달러를 기록했으나 EPS는 1.39달러(시장 전망치 1.23달러)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