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TASS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TASS
종전 중재에서 손을 떼겠다는 미국의 경고 하루 만에 러시아가 '30시간 휴전' 카드를 일방적으로 내놓으며 손을 들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미국의 휴전 중재를 무시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휴전을 더 연장하자고 했다.

AP·AFP·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과 면담 중 "러시아는 (모스크바 현지시간으로) 오늘 18시부터 21일 0시까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측도 우리의 본보기를 따를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동시에 우리 군은 휴전 위반이나 적의 도발, 어떤 형태의 공격적인 행동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경고' 하루 만에 푸틴 대통령의 휴전 명령이 나왔다. 지난달 미국 중재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부분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했으나 러시아가 잇달아 선결 조건을 요구하며 사실상 부분 휴전 이행을 하지 않고 있다는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불만이 고조된 상황에서 나온 측면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문답 중 "두 당사국(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리는 '당신은 바보다. 우리는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기를 희망한다"며 "우리는 (전쟁의) 끝을 보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도 같은 날 프랑스 파리에서 유럽, 우크라이나와 회동한 뒤 평화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미국이 중재 역할에서 손을 뗄 수 있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동시에 압박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당시 파리 회동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모든 당사국이 합의에 도달하기로 약속한다면 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하기도 했다. 브루스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제 문명 세계는 러시아도 정말로 진지한지 지켜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가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점을 고려하면, 결국 휴전 이행을 꺼리던 러시아가 미국 측의 잇따른 경고성 발언에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이 변심한다면 종전 협상을 계기로 서방 제재를 해제하려던 러시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

우크라이나는 푸틴 대통령 발표에 회의적 반응을 내놓으면서 휴전 연장을 역제안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발표한 휴전 개시 이후인 이날 오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게시물에서 "완전한 휴전이 유지된다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서는 부족하다"면서 "30일이 평화를 시도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중재안을 이행할 것을 거듭 촉구한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재 총사령관 보고에 따르면 러시아의 공격 작전은 일부 전선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포격도 멈추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러시아는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30일 휴전 제안에 39일째 호응하지 않고 있다. 미국이 이 제안을 했으며 우크라이나는 긍정적으로 대답했지만 러시아는 이를 무시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이제 와서 갑자기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휴전에 진정으로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고 한다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행동에 따라 그대로 행동할 것"이라며 "침묵에는 침묵으로, 공격에는 방어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