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폭탄' 멈춘 진짜 이유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관세 유예 전날까지 요지부동
‘채권 손실’ 직면하자 태도 급변
NYT "트럼프 금융자산 60%가 채권
정책 결정에 영향 가능성"
‘채권 손실’ 직면하자 태도 급변
NYT "트럼프 금융자산 60%가 채권
정책 결정에 영향 가능성"

지난 18일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해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최소 1억2500만달러 규모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전체 금융 자산이 약 2억600만달러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채권 비중은 60%를 넘는다.
반면 주식 투자 비중은 10%에 못 미쳤다. 보수적인 추정치를 적용하더라도 트럼프미디어를 제외한 주식 자산보다 채권 자산 규모가 두 배 이상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직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언급하며 국채 금리 급등이 정책 변화의 핵심 배경이었음을 시사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각계의 비판이나 주식시장 폭락에는 요지부동이었지만 채권시장이 패닉에 빠지자 움직였다"며 "그가 자신의 자산을 신탁하거나 통제권을 넘기지 않은 점이 이번 사태의 본질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내부자 거래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당일 SNS에 "지금은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때"라는 글을 올렸고, 약 3시간 뒤 관세 유예 방침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부 측근들이 해당 정보를 미리 알고 주식을 매입한 뒤 시세차익을 챙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임다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