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 변수…서울 공급 스케줄 미뤄지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약ABC
대선 앞두고 정책에 촉각
대형 건설사들 분양 일정
하반기나 내년으로 연기
노량진뉴타운 연내 공급
시세차익 기대 커 '관심'
대선 앞두고 정책에 촉각
대형 건설사들 분양 일정
하반기나 내년으로 연기
노량진뉴타운 연내 공급
시세차익 기대 커 '관심'
조기 대선과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아파트 분양 일정을 미루는 건설회사가 늘어나자 청약 대기 수요자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거주나 갈아타기, 시세 차익 등 목적에 따라 청약 전략을 다르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에 공급된 아파트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1097가구)뿐이다. 이마저도 일반에는 482가구만 나왔다. 올해 서울에 3만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지만 이 중 대부분의 단지가 분양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대형 건설사도 하반기 또는 내년으로 연기를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책 불확실성이 큰 데다 6월부터 학교용지부담금 부과 요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삼성물산은 연내 추가 분양 계획이 아직 없다. 반포동 ‘래미안 트리니원’도 일정이 미정이라는 설명이다. GS건설이 방배13구역을 재건축하는 ‘방배포레스트자이’ 분양도 내년으로 넘어갈 전망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예정된 게 없고 하반기도 미지수”라며 “불확실성이 여전해 우선은 기다려 보자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다음달 대형 건설사에서는 2개 단지가 공급될 예정이다. 은평구 ‘힐스테이트메디알레’(2083가구)와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983가구)다. 시세 차익보다 서울 내 실거주가 목적인 수요자라면 관심 있게 볼 만하다는 조언이다. 박지민 월용청약 대표는 “전용면적 84㎡ 기준 지난해 서울 아파트 최저 공급가가 12억원이었다”며 “앞으로 적어도 12억원에서 시작한다는 의미기 때문에 일부 주요 지역을 제외하면 시세 차익은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청약받은 성북구 장위동 ‘푸르지오 라디우스 파크’ 전용 84㎡ 공급가는 12억1100만원이었다. 노원구 ‘서울원 아이파크’도 같은 면적대가 13억~14억원대에 나왔다.
하반기에는 동작구 노량진뉴타운 내 일부 구역에서 공급이 계획돼 있다.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지하철 1·9호선 노량진역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단지다.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시공하는 노량진6구역 등이 대표적이다. 지하 4층~지상 28층, 14개 동, 1499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DL이앤씨는 노량진8구역(아크로 리버스카이)에서 공급을 진행한다. 박 대표는 “노량진은 시세 차익 기대가 크다”며 “노량진8구역 전용 84㎡가 18억원 정도에 나올 것으로 예상돼 주변 시세와 비교해 3억~4억원 정도 차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명현 기자 [email protected]
2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에 공급된 아파트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1097가구)뿐이다. 이마저도 일반에는 482가구만 나왔다. 올해 서울에 3만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지만 이 중 대부분의 단지가 분양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대형 건설사도 하반기 또는 내년으로 연기를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책 불확실성이 큰 데다 6월부터 학교용지부담금 부과 요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삼성물산은 연내 추가 분양 계획이 아직 없다. 반포동 ‘래미안 트리니원’도 일정이 미정이라는 설명이다. GS건설이 방배13구역을 재건축하는 ‘방배포레스트자이’ 분양도 내년으로 넘어갈 전망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예정된 게 없고 하반기도 미지수”라며 “불확실성이 여전해 우선은 기다려 보자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다음달 대형 건설사에서는 2개 단지가 공급될 예정이다. 은평구 ‘힐스테이트메디알레’(2083가구)와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983가구)다. 시세 차익보다 서울 내 실거주가 목적인 수요자라면 관심 있게 볼 만하다는 조언이다. 박지민 월용청약 대표는 “전용면적 84㎡ 기준 지난해 서울 아파트 최저 공급가가 12억원이었다”며 “앞으로 적어도 12억원에서 시작한다는 의미기 때문에 일부 주요 지역을 제외하면 시세 차익은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청약받은 성북구 장위동 ‘푸르지오 라디우스 파크’ 전용 84㎡ 공급가는 12억1100만원이었다. 노원구 ‘서울원 아이파크’도 같은 면적대가 13억~14억원대에 나왔다.
하반기에는 동작구 노량진뉴타운 내 일부 구역에서 공급이 계획돼 있다.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지하철 1·9호선 노량진역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단지다.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시공하는 노량진6구역 등이 대표적이다. 지하 4층~지상 28층, 14개 동, 1499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DL이앤씨는 노량진8구역(아크로 리버스카이)에서 공급을 진행한다. 박 대표는 “노량진은 시세 차익 기대가 크다”며 “노량진8구역 전용 84㎡가 18억원 정도에 나올 것으로 예상돼 주변 시세와 비교해 3억~4억원 정도 차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명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