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기업 '3D기반 공정' 도입…대전, 첨단 공유팩토리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부 '적층제조 사업' 선정
5년간 151억 투입해 설비 구축
로봇 등 고정밀 부품 제조 혁신
5년간 151억 투입해 설비 구축
로봇 등 고정밀 부품 제조 혁신
대전시가 제조업 디지털 대전환에 맞춰 뿌리산업 첨단화 거점을 선점했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적층 제조 기반 맞춤형 유연 생산(In-line) 공유팩토리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0억원을 확보했다고 23일 밝혔다.
적층 제조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소재를 열원으로 층층이 쌓아 3차원(3D) 형상 제품·부품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복잡한 부품을 정밀하고 빠르게 생산할 수 있으며, 설계 유연성도 극대화해 최근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은 2029년까지 5년간 시비 포함 총 151억원을 들여 지역에 적층 제조 기반의 통합형 유연 생산공정을 구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시는 공모 사업 선정으로 항공우주, 바이오, 반도체, 방위산업, 양자, 로봇 등 이른바 ‘ABCDQR 전략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기능·고정밀 부품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올해는 플랫폼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분말 제거 장비, 입도 분석기 등 핵심 시험 장비를 우선 확보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미터급 파우더베드퓨전(PBF) 금속 3D 프린터와 대형 표면처리 장비를 구축해 대형 부품 생산 기반을 마련한다. 2027년부터는 적층 제조 공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신뢰성 평가 체계를 완성해 시제품 제작 등 기업 지원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지역 뿌리 기업들은 이번 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자체 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중소 제조기업이 첨단 공정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 내 1946개의 뿌리 기업과 함께 지역 제조업 디지털 전환, 전략 산업 육성,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email protected]
적층 제조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소재를 열원으로 층층이 쌓아 3차원(3D) 형상 제품·부품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복잡한 부품을 정밀하고 빠르게 생산할 수 있으며, 설계 유연성도 극대화해 최근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은 2029년까지 5년간 시비 포함 총 151억원을 들여 지역에 적층 제조 기반의 통합형 유연 생산공정을 구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시는 공모 사업 선정으로 항공우주, 바이오, 반도체, 방위산업, 양자, 로봇 등 이른바 ‘ABCDQR 전략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기능·고정밀 부품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올해는 플랫폼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분말 제거 장비, 입도 분석기 등 핵심 시험 장비를 우선 확보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미터급 파우더베드퓨전(PBF) 금속 3D 프린터와 대형 표면처리 장비를 구축해 대형 부품 생산 기반을 마련한다. 2027년부터는 적층 제조 공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신뢰성 평가 체계를 완성해 시제품 제작 등 기업 지원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지역 뿌리 기업들은 이번 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자체 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중소 제조기업이 첨단 공정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 내 1946개의 뿌리 기업과 함께 지역 제조업 디지털 전환, 전략 산업 육성,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