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北개입설' 모른다"…박선영 진화위원장, 국회서 또 퇴정 명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12월에 이어 두번째
박 위원장 "논란 있는 건 알지만
진실 여부 모른다"
박 위원장 "논란 있는 건 알지만
진실 여부 모른다"

국회 행안위원장인 신정훈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후 진행된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광주 5·18 민주화운동의 북한군 개입설에 대해 “논란이 있는 건 알지만 진실 여부는 잘 모른다”고 답한 박 위원장에게 회의장을 나가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국회법 145조는 국회의원을 퇴장시킬 수는 있어도 참고인을 퇴장시킬 수는 없다”며 자리를 지켰다. 설전 끝에 신 위원장은 정회를 선언했다.
앞서 박 위원장은 임명된 지 보름만인 작년 12월 23일에도 퇴정 조치당한 바 있다. 구 야권 의원들은 당시 취임 직후 행안위 현안질의에 출석했던 박 위원장에게 "탄핵을 대비한 보험용 인사"라고 비판하며 그를 퇴정시켰다.
진화위는 2005년 항일운동, 해외동포사, 해방 전후 민간인 학살사건 등 과거사를 조사하기 위해 처음 구성된 독립기구다. 박 위원장은 작년 12월 6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소추 당하기 전 마지막으로 임명한 인사다. 과거사의 진실을 규명하고 화해를 이끌 기관의 수장으로 박 위원장이 적합하지 않다는 게 구 야권과 유족단체의 시각이다.
정치권에선 진화위 간부와 직원 인선 문제가 근현대사 해석을 둘러싼 이념 논쟁으로 번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한 뒤 김광용 위원장이 부임하면서 구 야권은 그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고 민주화 운동을 폄훼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김성회 민주당 의원은 전임 김 위원장의 ‘5·18 북한군 개입설 주장’을 언급하며 박 위원장도 같은 입장인지 물었다. 박 위원장이 “(김 위원장이) 어떤 맥락에서 얘기했는지 잘 모른다“고 답하자 김 의원은 “그런 역사 인식으로 여기에 있는 걸 부끄럽게 생각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중재에 나선 신 위원장은 “개입설에 대한 박 위원장의 생각이 어떻냐”고 재차 물어봤다. 박 위원장은 “그런 논란이 있는 건 알지만 개입했는지 안 했는지 모른다. 어떻게 그 이상 답할 수 있겠냐”고 했다.
그러자 진보 진영의 의원들은 거세게 비판했다. 신 위원장은 "정치적으로 법률적으로 다 정리된 사실을 갖고 진화위원장이 또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퇴정하라고 명령했다. 박 위원장은 이를 거부했고 결국 신 위원장은 회의를 정돈하기 위해 정회를 선포했다.
정회 후 약 35분뒤 속개한 회의에서도 박 위원장의 발언을 둘러싼 공방은 이어졌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광주를 모독하지 마시라"고 했고, 한병도 민주당 의원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진짜... 5.18 가지고 그러시면 안 된다. 최소한의 공감대가 있어야지"라며 울분을 토하듯 말했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민주당의 회의 운영 방식에 강하게 반발했다. 조승환 의원은 "(퇴장 명령은)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면 입을 막겠다는 취지로 받아들여진다"며 "이런 회의 운영은 아니지 않나"고 지적했다. 김종양 의원은 "위원장에게 권한이 있다손 치더라도 박 위원장의 발언을 이유로 자의적으로 퇴장 명령을 해선 안 된다"고 했다.
최해련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