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싱크탱크 '성장과통합' 해체 여부 놓고 갈등 폭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체" vs "아니다" 온종일 혼선
24일 오전 공지글 형태로 퍼져
기획운영위, 해체 보도자료 발표
수시간 뒤 대표 "안한다" 반박
각계 전문가만 700여명 모여들어
조율 없이 정책 남발 '혼선' 키워외곽 정책조직, 출범 일주일 만에 내분 휩싸여
24일 오전 공지글 형태로 퍼져
기획운영위, 해체 보도자료 발표
수시간 뒤 대표 "안한다" 반박
각계 전문가만 700여명 모여들어
조율 없이 정책 남발 '혼선' 키워외곽 정책조직, 출범 일주일 만에 내분 휩싸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를 지원하는 당 외곽 싱크탱크인 ‘성장과통합’이 출범 1주일여 만에 심각한 내부 분란에 휩싸였다. 24일 성장과통합 일부 인사가 “포럼을 해체하기로 했다”고 발표했고, 유종일·허민 공동 상임대표 측은 이를 공식 부인하는 등 온종일 혼선이 이어졌다. 정치권에서는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 주변 인사들이 정책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암투를 벌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성장과통합’에 무슨 일이…
‘성장과통합 해체설’은 지난 23일부터 민주당 안팎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성장과통합이 해체 준비를 하고 있고, 이를 곧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그러자 성장과통합 측은 “조직을 정비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도 해체는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오는 28일로 예정됐던 인공지능(AI) 심포지엄을 다음달 초로 순연하고 일부 운영 인력을 보강한다고 밝히면서 진위를 둘러싼 논란은 정리가 되는 듯했다.
하지만 24일 오전에 또다시 “성장과통합을 해체한다”는 공지글 형태의 출처를 알 수 없는 글이 정치권에 퍼졌다. ‘조직 내 주도권 다툼이 벌어졌고, 다른 조직으로부터 집중적인 견제와 시기를 받아 결국 해체하기로 했다’는 내용이었다. 한 분과위원장은 통화에서 “해체 사실을 통보받은 바 없다”며 “진짜 해체하기로 했다면 분과위원장인 나에게 아무런 통보가 없을 수 있느냐”고 했다.
해체설이 다시 확산하자 성장과통합 측은 또다시 “전혀 논의된 바 없는 근거없는 얘기”라며 해체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성장과통합 내 기획운영위위원회 명의로 “기획위원회는 참석자 전원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는 자료가 언론에 배포됐다. 이는 기획위원장인 이현웅 전 전북경제통상진흥원장이 주도했다.
그러자 유종일·허민 상임 공동대표 측은 “성장과통합 해체를 운운하는 자료 배포는 공동대표 입장과 정면 배치된다”는 입장을 냈다. 유 공동대표 측 인사는 “특정 세력이 포럼을 의도적으로 흔들고 있다”고 했다. ‘특정 세력’이 누군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내부 알력다툼 폭발”
성장과통합 내부 갈등은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를 가운데 두고 ‘주변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인사들 간 갈등이 폭발한 결과라는 평가가 나왔다. 성장과통합은 유종일·허민 공동대표를 중심으로 지난 16일 공식 출범했다.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면서 몸집을 600~700명 수준으로 키웠다.
하지만 출범 이후 이 후보 경선 캠프와 당 정책위원회, 민주연구원 등과 조율되지 않은 정책 관련 메시지가 나가면서 주의해 달라는 경고를 수차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각계 전문가가 모이는 과정에서 주도권 다툼도 일부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후보의 ‘40년 멘토’인 이한주 민주연구원장과는 알력 다툼이 벌어졌다는 얘기도 나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더 좋은 정책을 만들기 위해 논쟁할 수는 있지만, 자칫 차기 정부 요직을 놓고 다투는 것처럼 비칠까 우려되는 시선이 있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소속 위원들에게 기부금을 모금하려 했던 사실도 문제가 됐다. 성장과통합은 “위원들의 자발적인 회비와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아직 회비를 납부하지 못하신 분들께 다시 한번 공지를 드린다”고 위원들에게 전했다. 10만~300만원까지 직급별로 나뉘었는데 이 과정에서 선거법 위반과 집권 이후 ‘매관매직’ 가능성까지 불거졌다. 성장과통합 측이 잘못된 공지라고 수정했지만 사태는 걷잡을 수 없었다.
내부 갈등이 커지면서 성장과통합이 지금 형태로 유지되기는 어렵게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인사는 “성장과통합이 이 후보를 내세워 모이다 보니 정책자문그룹인데 사전 선거운동 조직처럼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며 “전직 관료, 교수 수백 명이 한꺼번에 모인 상황에서 일부 사람이 마치 차기 정부 장관이 된 양 다니고 있는 점이 걱정돼 지도부와 이 후보 캠프 차원에서 경고했다”고 말했다. 공식 선거대책위원회가 구성되면 성장과통합 일부 인사가 자연스레 흡수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최형창/한재영/원종환 기자 [email protected]
◇‘성장과통합’에 무슨 일이…
‘성장과통합 해체설’은 지난 23일부터 민주당 안팎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성장과통합이 해체 준비를 하고 있고, 이를 곧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그러자 성장과통합 측은 “조직을 정비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도 해체는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오는 28일로 예정됐던 인공지능(AI) 심포지엄을 다음달 초로 순연하고 일부 운영 인력을 보강한다고 밝히면서 진위를 둘러싼 논란은 정리가 되는 듯했다.
하지만 24일 오전에 또다시 “성장과통합을 해체한다”는 공지글 형태의 출처를 알 수 없는 글이 정치권에 퍼졌다. ‘조직 내 주도권 다툼이 벌어졌고, 다른 조직으로부터 집중적인 견제와 시기를 받아 결국 해체하기로 했다’는 내용이었다. 한 분과위원장은 통화에서 “해체 사실을 통보받은 바 없다”며 “진짜 해체하기로 했다면 분과위원장인 나에게 아무런 통보가 없을 수 있느냐”고 했다.
해체설이 다시 확산하자 성장과통합 측은 또다시 “전혀 논의된 바 없는 근거없는 얘기”라며 해체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성장과통합 내 기획운영위위원회 명의로 “기획위원회는 참석자 전원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는 자료가 언론에 배포됐다. 이는 기획위원장인 이현웅 전 전북경제통상진흥원장이 주도했다.
그러자 유종일·허민 상임 공동대표 측은 “성장과통합 해체를 운운하는 자료 배포는 공동대표 입장과 정면 배치된다”는 입장을 냈다. 유 공동대표 측 인사는 “특정 세력이 포럼을 의도적으로 흔들고 있다”고 했다. ‘특정 세력’이 누군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내부 알력다툼 폭발”
성장과통합 내부 갈등은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를 가운데 두고 ‘주변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인사들 간 갈등이 폭발한 결과라는 평가가 나왔다. 성장과통합은 유종일·허민 공동대표를 중심으로 지난 16일 공식 출범했다.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면서 몸집을 600~700명 수준으로 키웠다.
하지만 출범 이후 이 후보 경선 캠프와 당 정책위원회, 민주연구원 등과 조율되지 않은 정책 관련 메시지가 나가면서 주의해 달라는 경고를 수차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각계 전문가가 모이는 과정에서 주도권 다툼도 일부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후보의 ‘40년 멘토’인 이한주 민주연구원장과는 알력 다툼이 벌어졌다는 얘기도 나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더 좋은 정책을 만들기 위해 논쟁할 수는 있지만, 자칫 차기 정부 요직을 놓고 다투는 것처럼 비칠까 우려되는 시선이 있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소속 위원들에게 기부금을 모금하려 했던 사실도 문제가 됐다. 성장과통합은 “위원들의 자발적인 회비와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아직 회비를 납부하지 못하신 분들께 다시 한번 공지를 드린다”고 위원들에게 전했다. 10만~300만원까지 직급별로 나뉘었는데 이 과정에서 선거법 위반과 집권 이후 ‘매관매직’ 가능성까지 불거졌다. 성장과통합 측이 잘못된 공지라고 수정했지만 사태는 걷잡을 수 없었다.
내부 갈등이 커지면서 성장과통합이 지금 형태로 유지되기는 어렵게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인사는 “성장과통합이 이 후보를 내세워 모이다 보니 정책자문그룹인데 사전 선거운동 조직처럼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며 “전직 관료, 교수 수백 명이 한꺼번에 모인 상황에서 일부 사람이 마치 차기 정부 장관이 된 양 다니고 있는 점이 걱정돼 지도부와 이 후보 캠프 차원에서 경고했다”고 말했다. 공식 선거대책위원회가 구성되면 성장과통합 일부 인사가 자연스레 흡수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최형창/한재영/원종환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