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원전 문제, 필요성·위험성 병존…어느 한쪽 선택 어려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신안군 '햇빛연금' 전국 확대
전남·전북에 국립의대 설립호남권 경선 앞두고 "재생에너지를 제2반도체 키울 것"
신안군 '햇빛연금' 전국 확대
전남·전북에 국립의대 설립호남권 경선 앞두고 "재생에너지를 제2반도체 키울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재생에너지 발전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공약을 24일 내놨다.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지난해 기준 전 세계 에너지 부문 투자액은 4360조원에 달해 반도체와 자동차를 합한 것보다 크다”며 “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 산업을 대한민국 경제를 책임질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석탄 비중을 최소화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비중도 줄여가되, 재생에너지 비율은 신속히 늘려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남서해안에 20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이를 해상 전력망을 통해 주요 산업단지로 송전하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2030년까지 건설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그는 “2040년 완공 목표로 U자형 한반도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며 “호남과 영남의 전력망을 잇고 동해안 해상 풍력까지 연결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전남 신안군이 2021년 도입한 ‘햇빛·바람 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태양광·풍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팔아 얻은 이익을 지역 주민에게 공유해주는 제도다. 신안군은 조례를 통해 태양광 사업자가 거둔 이익의 30%를 햇빛 연금으로 징수하고 있다.
이 후보는 “신안군은 태양광발전으로 주민들에게 총 220억원을 배당했다”며 “이런 성과 덕에 인구 소멸 위기 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인구가 늘고 있다”고 했다. 이른바 ‘에너지 기본소득’을 실현하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시공비, 인건비 등이 오르는 가운데 이익마저 징수당하면 사업 의지가 꺾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후보는 원전 확대에 관해선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환경단체 등 전통 지지층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는 이날 전북 김제 재생에너지 현장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원전 문제는 전기 공급의 필요성과 위험성이 병존해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선택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발전과 재생에너지를)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후덕 이재명 캠프 정책본부장은 “캠프에서 원전을 강조하진 않으며, 명확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산업계에선 인공지능(AI)산업을 육성하려면 값싸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원전산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지난해 기준 원전의 발전단가는 ㎾h당 66.3원인 데 비해 태양광은 135.6원, 풍력은 123.5원에 달했다.
광주=김형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지난해 기준 전 세계 에너지 부문 투자액은 4360조원에 달해 반도체와 자동차를 합한 것보다 크다”며 “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 산업을 대한민국 경제를 책임질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석탄 비중을 최소화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비중도 줄여가되, 재생에너지 비율은 신속히 늘려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남서해안에 20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이를 해상 전력망을 통해 주요 산업단지로 송전하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2030년까지 건설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그는 “2040년 완공 목표로 U자형 한반도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며 “호남과 영남의 전력망을 잇고 동해안 해상 풍력까지 연결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전남 신안군이 2021년 도입한 ‘햇빛·바람 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태양광·풍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팔아 얻은 이익을 지역 주민에게 공유해주는 제도다. 신안군은 조례를 통해 태양광 사업자가 거둔 이익의 30%를 햇빛 연금으로 징수하고 있다.
이 후보는 “신안군은 태양광발전으로 주민들에게 총 220억원을 배당했다”며 “이런 성과 덕에 인구 소멸 위기 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인구가 늘고 있다”고 했다. 이른바 ‘에너지 기본소득’을 실현하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시공비, 인건비 등이 오르는 가운데 이익마저 징수당하면 사업 의지가 꺾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후보는 원전 확대에 관해선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환경단체 등 전통 지지층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는 이날 전북 김제 재생에너지 현장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원전 문제는 전기 공급의 필요성과 위험성이 병존해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선택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발전과 재생에너지를)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후덕 이재명 캠프 정책본부장은 “캠프에서 원전을 강조하진 않으며, 명확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산업계에선 인공지능(AI)산업을 육성하려면 값싸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원전산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지난해 기준 원전의 발전단가는 ㎾h당 66.3원인 데 비해 태양광은 135.6원, 풍력은 123.5원에 달했다.
광주=김형규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