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규제가 강한 유럽연합(EU) 회원국은 폐합성수지 같은 대체연료를 시멘트 원료로 쓰는 비중이 한국보다 월등히 높다. 환경오염이 심한 유연탄보다 폐합성수지를 쓰는 게 낫다고 보고 폐합성수지에 많은 염화물 규제를 한국보다 낮은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EU, 시멘트 대체연료 비중은 70%…한국의 두 배
국내 시멘트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기준 약 3600만t으로 철강과 석유화학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시멘트업계는 대응책으로 석회석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화석연료 대신 대체연료를 활용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30년까지 유연탄 대신 폐합성수지 등 대체연료 비중을 36%, 2050년엔 60%까지 끌어올려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2030년 온실가스 감축률은 4.1%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염화물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유럽 시멘트산업의 대체연료 전환율은 2021년 기준 평균 53%로 집계됐다. 2023년 기준 35%인 한국에 비해 훨씬 높다. 폴란드와 오스트리아는 각 76%에 달한다. 독일은 70%이며, 영국과 프랑스도 46%로 한국을 크게 웃돈다.

대체연료 전환율을 높이려면 염화물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철근 부식 문제 때문에 총량 규제가 적용되는 염화물이 유연탄보다 폐합성수지에 많아서다. 대체연료를 많이 쓸수록 시멘트의 염소 함유량이 높아져 콘크리트의 염화물 함량도 늘어나게 된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단순하게 대체연료를 늘리면 된다고 생각하겠지만 EU는 염화물 규제 기준을 시멘트에 적용해 콘크리트의 폐기물 활용이 자유롭다”고 말했다. 전체 콘크리트에서 시멘트 비중이 늘어날수록 염화물 규제 기준도 완화하면서 대체연료를 활용할 여지를 더 남겨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염화물 총량 기준을 유럽처럼 두 배 완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시멘트업계는 “현재 콘크리트 대비 총량(1㎥당 0.3㎏)으로 규제된 한국산업표준(KS) 기준이 개선되지 않으면 대체연료 확대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김의철 한국시멘트협회 기술개발실장은 “콘크리트 염화물 규정을 종량제로 서둘러 개정해야만 기업의 신규 대체연료 설비투자가 실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진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