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가면 3년 날아가"…전공의 커뮤니티서 복귀 분위기 감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0일 메디스태프, 의사 75% "복귀하겠다" 투표
"의료 정상화 위해 정부가 나서 특례 열어야"
"의료 정상화 위해 정부가 나서 특례 열어야"

30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사 커뮤니티 '메디스태프'에는 전날 오후 정부가 전공의 수련 특례를 인정해줄 경우 복귀 의사를 묻는 투표 글이 올라왔다.
이날 오후 기준으로 해당 투표에는 120명이 참여했고, 복귀하겠다는 응답이 75%, 복귀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25%를 기록했다.
투표 글에는 "개군보(개원의·군의관·공보의) 빼면 걍(그냥) 100%라 봐도 무방", "(매번) 투표하면 전반적으로 특례 원하는 비율이 75% 정도로 일정하게 나오는 듯", "항상 67∼73% 사이로 동일함" 등의 댓글이 달렸다.
다만 이 커뮤니티는 전공의 외에도 다른 직역 의사나 의대생도 이용하기 때문에 투표자 전원이 전공의라고 단정하긴 어렵다. 투표 참여 인원 역시 소수이기에 결과가 전체 전공의들의 뜻을 대변한다고 보긴 어렵다.
그런데도 사직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이제라도 병원으로 복귀할 길을 찾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사직 전공의 A씨는 "최근 의정 갈등 상황에 불만을 가진 회원들의 글이 많이 올라왔다"며 "처음에는 장난 느낌도 있었는데 커뮤니티에서 진지하게 투표 한번 해보자는 글이 여러 차례 올라오면서 투표 참여 인원이 늘었다"고 말했다.
전공의들이 정부에 수련 특례를 재요청하는 이유는 내년 2월 전문의 시험 때문이다.
현행 규정상 전공의는 수련 공백이 3개월을 넘으면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올해 수련이 3월에 시작됐기에 5월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내년 시험 응시가 불가능해진다.
정부는 3월부터 수련을 시작하는 전공의를 위해 1월에 모집을 진행했다. 당시에는 사직한 전공의라도 1년 이내 동일 과목·동일 연차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련 특례를 적용했다. 복귀 전공의에게는 병역 의무 이행을 미루는 조치도 제공했다.
A씨는 "이제는 복지부도 의료 정상화를 위해 사직 전공의가 병원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특례를 열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의정 갈등이 가을이나 내년까지 이어지면 군 미필 전공의는 무작위 입대 상황에 놓일 수 있다"며 "정부가 초기에 줬던 특례처럼 수련을 마칠 때까지 군대에 가지 않아도 되는 조건이 포함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메디스태프에는 정부가 특례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올해까지 백수로 기본 3년이 날아갈 수 있다"는 우려의 글도 올라왔다.
하지만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전공의들의 동향은 듣고 있다"면서도 "(특례를 통해) 상반기 중에 전공의를 모집하는 방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정부 정책 철회를 주장하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에 대한 불만도 제기됐다.
의정 갈등 기간 동안 미용 분야에서 일해왔다고 밝힌 한 작성자는 메디스태프에 '박단 이제 패싱하자'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전공의들한테 방향도 제시하고 출구 전략도 짜야 하는데 그냥 누우라고만 하니 답답하고 지친다"며 "이대로 가면 (공백) 2년각이다. 이제 각자 갈 길 가자"고 말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