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눈높이 맞춰야 IPO 성공…대기업 계열 상장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본시장을 움직이는 사람들
이충훈 삼성증권 IB1부문장
이충훈 삼성증권 IB1부문장

삼성증권이 올해 IPO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을 필두로 대형 IPO를 잇달아 주관하며 경쟁사를 긴장시키고 있다. 이 부사장은 “IPO는 언론 노출이 많고 개인투자자와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증권사 브랜드를 키우는 데 가장 효과적인 사업이라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삼성증권은 지난 3월 서울보증보험 IPO에서 연 11%의 배당수익률을 제시하는 등 ‘현실적 전략’을 채택해 흥행에 성공했다. 보험업 특성상 성장성보단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먹힐 것이라고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서울보증보험의 상장 당일 주가는 23.08% 상승했다. 이 부사장은 “가격, 배당, 성장성 등 투자자가 수용 가능한 구조를 짜는 게 주관사의 핵심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증권은 메가존클라우드, 리벨리온 등 정보기술(IT)·인공지능(AI) 기업으로 IPO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대기업 계열사의 상장도 적극 노린다는 방침이다. 이 부사장은 “예전에는 삼성 계열사라는 이유로 대기업 계열사 IPO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LS그룹 계열인 에식스솔루션즈의 주관사로 선정되는 등 분위기를 바꿔나가고 있다”고 했다.
1996년 삼성증권에 입사한 이 부사장은 기업금융, 금융공학, 리스크관리, 부동산금융 등 IB 전 부문을 거친 정통 IB 전문가다. 삼성증권은 인수금융, 주식발행시장(ECM) 등 다양한 부문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작년에는 6000억원 규모의 지오영 인수금융을 단독 주관하며 대규모 거래를 소화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대성산업가스(5100억원), 휴젤(4550억원) 리파이낸싱 등도 수행했다. 농심의 1600억원 규모 교환사채(EB) 발행도 이끌었다. 이 부사장은 “농심은 수년간 굵직한 자금조달이 없던 회사였다”면서 “수요를 발굴해 투자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거래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조직개편 없이 기존 체계를 유지하는 데 방점을 뒀다. 그는 “조직을 자주 바꾸면 고객도 피로감을 느낀다”며 “최소 2~3년은 유지해야 시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다고”고 말했다.
최한종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