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국제도시. /사진=연합뉴스
인천 송도국제도시. /사진=연합뉴스
장기간 '아파트촌'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는 송도국제업무단지와 관련 인천시의회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앞서 인천시는 여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세계적인 비즈니스 중심지를 만든다며 민간사업자에게 송도국제업무단지 개발권을 내줬지만, 개발사업이 본격화한 지 20년이 넘도록 개발 진척률이 80%에 머물고 있다.

6일 인천시의회와 시 산하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전체 부지 면적이 580만3000㎡에 달하는 송도국제업무단지 개발 사업은 애초 포스코건설(현 포스코이앤씨)과 미국의 부동산 개발업체 게일인터내셔널이 3대 7의 지분 비율로 설립한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가 2005년부터 진행해왔다.

이후 포스코건설과 게일이 갈등을 빚으면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사업이 전면 중단됐고, 포스코건설이 확보한 게일 지분을 새로운 투자사 2곳에 매각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또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정주 여건 마련에 필요한 국제병원과 제2 국제학교 건립이 투자자를 찾지 못해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시의회는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이른바 '돈이 되는' 아파트·주상복합 분양은 빠르게 진행됐지만, 국책사업인 경제자유구역 조성 취지에 맞는 국제업무시설과 외국인 이용시설 개발은 극도로 부진한 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현재 송도국제업무단지의 용도별 개발 진척률은 주택건설용지 93%(137만7000㎡ 중 128만5000㎡), 상업업무용지 47%(115만1000㎡ 중 54만6000㎡)로 큰 차이를 보인다.

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월 '송도국제업무지구 활성화 및 11공구 도시계획 변경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인천경제청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소위원회는 또 최근 열린 회의에서도 인천경제청을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위원들은 "송도국제업무단지 내 아파트 용지는 원래 업무 부지 개발을 위한 수익적 용지로, 기업 유치를 위해 조성원가 등 염가로 제공됐음에도 주객이 전도되면서 아파트촌으로 변질했다"고 강조했다.

시의회는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아파트 위주로 개발된 원인은 인천경제청이 제공했다고 판단했다.

인천경제청이 2011년 5월 국제업무단지 개발시행자 NSIC와 합의해 주거 대비 업무 개발 비율을 8대 2로 완화한 뒤 재협상하지 않고 14년이 지나도록 방치해 아파트만 난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주장이다.

시의회는 송도국제업무단지에 마지막 남은 아파트 용지인 G5 블록마저 개발을 허용하면 기업 유치가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했다.

이강구 소위원장은 "인천시의 개발 청사진을 믿고 송도국제도시에 입주한 주민들은 무슨 죄가 있느냐"며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아파트 위주로 개발된 것을 부끄러운 일이며 인천경제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