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취약계층만의 문제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9년 1366명→2023년 1689명
여유 있는 계층서도 증가 추세
인간관계 단절·사회적 고립이 원인
여유 있는 계층서도 증가 추세
인간관계 단절·사회적 고립이 원인
노인과 1인 가구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고독사’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이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고독사 사망자는 2019년 1366명에서 2023년 1689명으로 늘었다. 특히 세 집 중 한 집꼴로 1인 가구인 경기에서는 2023년 고독사 사망자가 922명으로 전년 대비 23% 급증했다. 이 기간 서울에선 연평균 500명 넘는 고독사가 발생해 사회 안전망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 시내 ‘고립 위험 가구’만 11만 명에 달한다. 이 중 약 4만 명은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김수덕 서울시 돌봄고독정책관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등으로 지난 3년간 7만 건 넘는 위험 신호를 감지했다”며 “초고령화가 심화하고 1인 가구가 급증하는 현실에서 고독사가 고질적 사회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에는 실제 고독사로 이어지는 사례가 다양해져 모니터링이 쉽지 않다. 김 정책관은 “과거에는 긴급복지 신청자 등 경제 취약계층에 국한된 문제였다면 요즘에는 경제력과 관계없이 자녀들이 외국에 머물거나 친한 지인이 없어 인간관계가 단절된 채 고독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에는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 인근에 거주하던 A씨(60)가 사망 후 수개월이 지난 시점에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타깃을 좁혀 모니터링하고 ‘집 밖에 나오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황순찬 인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경향을 보면 12개월 이상 일하지 않은 50대 1인 가구 등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하다”며 “1~2시간이라도 노동하도록 지원해 이들이 사회적 관계를 만들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위험 가구를 조기 발굴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24시간 상담 서비스 ‘외로움안녕120’ 전화, 먹거리와 상담을 제공하는 ‘서울마음편의점’, 지역 커뮤니티 공간 ‘서울잇다플레이스’ 등을 통해서다.
오유림 기자 [email protected]
6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고독사 사망자는 2019년 1366명에서 2023년 1689명으로 늘었다. 특히 세 집 중 한 집꼴로 1인 가구인 경기에서는 2023년 고독사 사망자가 922명으로 전년 대비 23% 급증했다. 이 기간 서울에선 연평균 500명 넘는 고독사가 발생해 사회 안전망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 시내 ‘고립 위험 가구’만 11만 명에 달한다. 이 중 약 4만 명은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김수덕 서울시 돌봄고독정책관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등으로 지난 3년간 7만 건 넘는 위험 신호를 감지했다”며 “초고령화가 심화하고 1인 가구가 급증하는 현실에서 고독사가 고질적 사회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에는 실제 고독사로 이어지는 사례가 다양해져 모니터링이 쉽지 않다. 김 정책관은 “과거에는 긴급복지 신청자 등 경제 취약계층에 국한된 문제였다면 요즘에는 경제력과 관계없이 자녀들이 외국에 머물거나 친한 지인이 없어 인간관계가 단절된 채 고독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에는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 인근에 거주하던 A씨(60)가 사망 후 수개월이 지난 시점에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타깃을 좁혀 모니터링하고 ‘집 밖에 나오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황순찬 인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경향을 보면 12개월 이상 일하지 않은 50대 1인 가구 등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하다”며 “1~2시간이라도 노동하도록 지원해 이들이 사회적 관계를 만들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위험 가구를 조기 발굴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24시간 상담 서비스 ‘외로움안녕120’ 전화, 먹거리와 상담을 제공하는 ‘서울마음편의점’, 지역 커뮤니티 공간 ‘서울잇다플레이스’ 등을 통해서다.
오유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