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제약, 티움바이오서 도입 '메리골릭스' 국내 자궁근종 2상 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 로부터 국내 개발권을 도입한 '메리골릭스(DW-4902)'의 자궁근종 국내 임상 2상에서 주 평가지표인 '과다 월경 감소'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자궁근종 환자 7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임상 2상에서 고용량, 중간 용량, 저용량, 위약 등 네 그룹으로 무작위 선정된 환자들은 12주 동안 하루 한번 먹는 약인 메리골릭스 등을 복용한 뒤 12주 간 관찰했다.
모든 용량군에서 월경과다증 개선 효과가 위약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개선됐다. 근종 크기 감소, 헤모글로빈 수치 증가(빈혈 개선), 통증 감소 등 부평가지표에서도 뚜렷한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골릭스는 먹는 성선자극호르몬 억제제(GnRH antagonist)다. 기존 성선자극호르몬 작용제(GnRH agonist)와 달리 투약 초기에 호르몬이 급격히 오르지 않으면서도 단기간에 빠르게 효과를 낸다. 기존 성선자극호르몬 작용제는 주로 주사제지만 메리골릭스는 먹는 약으로 환자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메리골릭스는 여성 호르몬 관련 질환인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보조생식술(ART), 성조숙증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작용기전을 갖고 있다. 유럽에서 진행된 자궁내막증 임상 2상에서도 유의미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는 등 신약 후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대원제약은 2019년 티움바이오로부터 해당 후보물질의 국내 개발권을 도입했다. 백인환 대원제약 사장은 "자궁근종은 많은 여성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질환으로 메리골릭스가 먹는 약으로 중요한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궁근종 환자들에게 복용이 편리하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는 "메리골릭스가 자궁내막증에 이어 자궁근종에서도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였다"며 "임상시험에서 가장 허들이 높은 임상 2상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만큼 글로벌 자궁근종 치료제 시장으로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궁근종은 자궁에 생기는 양성종양이다. 가임기 여성 중 30대 이후에 발생해 35세 이상 여성에서 20%의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월경 과다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비정상 자궁 출혈, 골반 통증,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자궁근종 치료제 시장은 2022년 2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2032년에는 6조6000억원까지 커질 것이란 평가다.
이지현 기자 [email protected]
자궁근종 환자 7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임상 2상에서 고용량, 중간 용량, 저용량, 위약 등 네 그룹으로 무작위 선정된 환자들은 12주 동안 하루 한번 먹는 약인 메리골릭스 등을 복용한 뒤 12주 간 관찰했다.
모든 용량군에서 월경과다증 개선 효과가 위약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개선됐다. 근종 크기 감소, 헤모글로빈 수치 증가(빈혈 개선), 통증 감소 등 부평가지표에서도 뚜렷한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골릭스는 먹는 성선자극호르몬 억제제(GnRH antagonist)다. 기존 성선자극호르몬 작용제(GnRH agonist)와 달리 투약 초기에 호르몬이 급격히 오르지 않으면서도 단기간에 빠르게 효과를 낸다. 기존 성선자극호르몬 작용제는 주로 주사제지만 메리골릭스는 먹는 약으로 환자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메리골릭스는 여성 호르몬 관련 질환인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보조생식술(ART), 성조숙증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작용기전을 갖고 있다. 유럽에서 진행된 자궁내막증 임상 2상에서도 유의미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는 등 신약 후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대원제약은 2019년 티움바이오로부터 해당 후보물질의 국내 개발권을 도입했다. 백인환 대원제약 사장은 "자궁근종은 많은 여성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질환으로 메리골릭스가 먹는 약으로 중요한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궁근종 환자들에게 복용이 편리하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는 "메리골릭스가 자궁내막증에 이어 자궁근종에서도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였다"며 "임상시험에서 가장 허들이 높은 임상 2상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만큼 글로벌 자궁근종 치료제 시장으로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궁근종은 자궁에 생기는 양성종양이다. 가임기 여성 중 30대 이후에 발생해 35세 이상 여성에서 20%의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월경 과다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비정상 자궁 출혈, 골반 통증,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자궁근종 치료제 시장은 2022년 2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2032년에는 6조6000억원까지 커질 것이란 평가다.
이지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