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젊은 교사의 교직 이탈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권 침해, 낮은 처우, 추락한 직업 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다. 교사 10명 중 9명은 '초년 교사 이탈이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제73회 교육주간과 제44회 스승의 날을 맞아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 유치원, 초·중·고, 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저연차 교사의 교직 이탈에 대해 응답자의 90.0%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이 중 절반 이상(51.6%)은 ‘매우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꼽은 주요 이탈 원인은 ‘교권 침해’(40.9%), ‘사회적 인식 저하’(26.7%), ‘업무 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 순이었다.

실제로 최근 교대 입시에서 내신 6·7등급도 합격한 사례가 포착되는가 하면, 2023년 한 해 동안만 교직경력 10년 미만의 교사 576명이 퇴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교대 자퇴생도 500명에 달해 교직 기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교총은 연금 혜택의 약화, 민원과 아동학대 신고의 남용, 물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보수 인상률 등을 교사 이탈의 구조적 원인으로 지목했다. 교총 관계자는 “교사가 떠나는 교단에는 교육의 미래가 없다”며 “교권 보호와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한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 3명 중 1명은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다가 언쟁이나 폭언을 겪은 적이 있다고 밝혔고, 6.2%는 실제로 상해·폭행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학생의 몰래 녹음·촬영에 대한 우려는 무려 85.8%에 달했다.

이에 대해 교총은 교육활동 중 휴대전화 사용을 제한하고 위반 시 명확한 제재 조항을 마련하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교육활동 중 교사를 폭행한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가중처벌 법안에 대해 응답자의 99.3%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관련 질문에서는 차기 대통령이 가장 갖춰야 할 자질로 ‘소통과 통합 능력’(50.3%)을 꼽았다. 가장 우선 추진해야 할 교육 정책으로는 ‘교권 보호’가 1순위로 조사됐다. 이어 ‘교원 처우 개선’,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이 뒤를 이었다.

기타 정책 현안에 대한 의견으로는 수능 복수 시행에 대해 반대가 60.9%, 서·논술형 문항 도입 반대가 63.0%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에는 찬성(57.6%)이 반대(42.4%)보다 많았다. 찬성 이유로는 ‘연금 소득 공백 해소’(60.6%)가 가장 많았다.

교총 관계자는 “현장의 절박한 요구가 설문 결과에 그대로 반영됐다”며 “정부와 국회는 교사들이 학생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