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평은 너무 비싸서"…수도권 청약, 2년째 60㎡ 이하 강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솟은 분양가·대출 규제 여파
1~3인 가구 비중 증가도 영향
1~3인 가구 비중 증가도 영향

15일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 렙스의 면적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서 전용 60㎡ 이하 소형 타입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24년 39.4대 1 △2025년(1~4월) 14.2대 1을 기록해 2년 연속 가장 높았다. 2020년부터 4년 연속으로 청약시장을 주도했던 전용 85㎡ 초과 타입 경쟁률은 2020년 103.6대 1에서 올해 4.5대 1로 크게 떨어졌다.
소형 타입 인기가 높아진 배경으로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은 가파르게 오른 분양가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월 수도권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837만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4%나 상승했다. 국민 평형이라 불리는 전용 84㎡와 전용 59㎡를 비교하면 약 2억8400만원의 분양가 차이가 발생한다.

인구구조 변화 역시 소형 타입 선호 현상을 이끄는 원인이다. 통계청이 2023년 발표한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가구원 수는 2.2명으로 줄었고, 전체 가구의 83.3%는 3인 이하였다. 분양가가 부담스러운 큰 집보다 실용성을 앞세운 주거 형태가 인기를 얻고 있는 셈이다.
아파트 평면 설계도 달라졌다. 기존 소형 아파트는 협소하고 불편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건설사들 사이에서는 방 3개와 안방 드레스룸을 넣은 효율적 구조가 보편화됐다. 일부는 4베이 판상형 구조를 통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도 한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3인 이하 가구 증가와 스트레스 DRS 3단계 등 대출 규제 강화 요인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수도권 주택시장에서 소형 평형의 우세는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며 "집의 크기보다 공간 활용성과 기능적 효율성을 따지는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