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작년 겨울 이후 조류 인플루엔자 확진과 이상 기온이 겹쳐 일부 치킨 가맹점의 닭고기 수급에 차질이 생겼다. 부분육과 순살육 메뉴를 주로 판매하는 일부 치킨 가맹점주는 닭이 없어 주문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15일 굽네치킨 가맹점주협의회에 따르면 굽네치킨 순살 닭고기 공급이 지난 2월 1일부터 19일까지 제한됐다. 지난 3월 19일부터 현재까지는 수급이 불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피세준 굽네치킨 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은 "본사에 순살 닭고기를 10개 주문하면 3개 정도만 들어오는 수준이어서 메뉴를 팔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작년과 비교하면 수급이 제대로 안 되는 시기 매출이 20% 정도 줄었다"고 주장했다.

피 회장은 지난 3월 일부 점주와 서울 강서구 굽네치킨 가맹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문제 해결과 분쟁 조정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 본사로부터 뚜렷한 대책은 듣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체들은 치킨 수급 불안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굽네치킨 측은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도계량 감소와 계육 업체의 닭가슴살 재고 누적, 영남지역 산불로 인한 양계장 피해 등 이슈가 겹쳐 계육 공급량이 줄면서 일시적으로 모든 매장에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운 상태"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수급 문제는 여름 성수기까지 겹치면 단기간 내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며 "원재료 수급 안정화를 최우선의 과제로 두고 협력사와의 공급망 다변화, 메뉴 다양화 등 방안을 마련해 공급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작년 말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유행과 올해 초 이상 기온, 큰 일교차로 인해 종란의 생육에 지속적인 차질이 생긴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육계 출하량이 1%만 줄어도 시장 공급에 문제가 생기는데,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출하량이 작년 동기보다 약 4.3% 줄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업계는 최근 부화장에 들어간 종란의 생육 상황이 좋아 다음 달 말이면 치킨 업체들이 닭을 차질 없이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부연했다.

이민형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