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과잉 우려 커진다"…이란발 변수까지 겹쳐 [오늘의 유가]
국제 유가는 미국의 원유 재고가 시장 예상과 달리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소식에 5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1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0.52달러(0.82%) 내린 배럴당 63.15달러에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7월 인도분도 전장 대비 0.54달러(0.81%) 하락한 배럴당 66.0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와 브렌트유가 하락한 것은 지난 7일 이후 처음이다. WTI는 전날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약 10% 급등한 바 있다.
"공급 과잉 우려 커진다"…이란발 변수까지 겹쳐 [오늘의 유가]
이날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9일로 끝난 주간 기준 미국 원유 재고가 전주 대비 345만4000배럴 늘어 총 4억4180만 배럴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는 약 200만 배럴 감소였으나,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셈이다.

미국석유협회(API)도 전날 자체 통계에서 지난주 원유 재고가 430만 배럴 증가했다고 밝혔다. UBS의 조반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API 수치에서 원유 재고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 유가 하락에 분명한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밥 야거 미즈호증권 에너지 선물 담당 이사는 "수요 전망은 바꾸지 않으면서 공급만 늘리고 있다"며 "언젠가는 공급이 수요를 압도하고 시장을 끌어내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원유 재고 증가는 지난 3월 넷째 주 이후 가장 큰 폭이며, 3주 만의 증가 전환이기도 하다. 반면 휘발유 재고는 한 주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며 102만2000배럴 줄었다.
(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여기에 이란산 원유 공급 증가 가능성도 공급 과잉 우려를 더했다. NBC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이란 최고지도자의 고문 알리 샴카니를 인용해, 이란이 특정 조건 하에 미국과의 합의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한편 OPEC는 이날 발표한 월간 보고서에서 OPEC과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 이외 국가들의 올해 원유 공급 증가 전망치를 기존 하루 90만 배럴에서 80만 배럴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미국 셰일업계의 생산 제약과 일부 비(非)OPEC 산유국의 생산 둔화 가능성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OPEC+는 지난달 하루 2만5000배럴만 증산했으며, 이는 예정됐던 13만8000배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OPEC은 미국과 중국이 90일 동안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한 데 대해 “보다 지속 가능한 협정 가능성을 시사하며 무역 흐름 정상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4월 갈등 격화 이전에 비해 관세 수준은 여전히 높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임다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