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공사현장. 사진=한경DB
서울 시내 공사현장. 사진=한경DB
최근 국내 건설 경기 침체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각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발표한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한 최근 건설경기 진단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 경기 선행 지표인 건설 수주(경상)는 2023년에 전년 대비 16.6% 감소해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1% 감소보다 눈에 띄게 폭이 컸다. 건축 착공 면적 역시 2008년에는 전년 대비 22.2%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31.7% 쪼그라들어 크게 줄었다.

건설 경기 동행 지표인 건설 기성(경상)은 과거 금융위기를 전후해 2007년 6.6%, 2008년 4.9%, 2009년 3.2%로 성장은 둔화했더라도 성장세 자체는 이어갔지만 최근에는 2022년 12.4%, 2023년 10.7% 증가하다가 지난해 -3.2%로 하락 전환했다. 건설 투자도 2022년과 2024년 각각 전년 대비 3.5%와 3% 감소해 2008년 감소 폭인 2.7%를 웃돌았다.

주택 수요 부진 지표인 연도별 미분양(12월 말 기준)은 2008년 16만5599가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6만8107가구로 물량 자체는 적지만 전년 대비 증가율은 284.6%로 매우 가팔랐다.

이런 지표를 토대로 최근 건설 경기 악화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비교해 더 빠른 침체 양상을 보이며 우려되는 측면도 그만큼 크다는 게 건산연의 설명이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에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8%에 달했고 2008년 3%, 2009년에는 0.8%까지 떨어졌다가 2010년 7%로 반등한 뒤 코로나19 팬데믹 전까지 3% 안팎을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2022년 2.7%, 2023년 1.4%, 2024년 2%에 그쳤고 2025년과 2026년에도 각각 1.5%, 1.8%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저성장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자잿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가 오르면서 건설사 수익 저하와 분양가 인상 부담이 발생하는 점, 대출 규제와 고금리 부담, 가구 수 증가세 둔화 등에 따른 주택 수요 위축도 건설 경기가 장기간 침체하는 요인이다.

건산연은 "과거에는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나 빠른 기준금리 인하 등 공공 주도의 신속한 경기 부양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고물가와 고부채, 미국과의 금리 역전 등으로 통화정책 운용에 제약이 있고 재정수지 적자 지속에 따른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로 대규모 재정지출 확대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