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더 이상 TSMC만의 나라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만 AI산업 왜 강한가
(1) 50년 다진 '부품 밸류체인'…AI 붐 타고 폭풍성장
반도체-서버-HW 완제품
'AI 밸류체인' 더 촘촘해져
폭스콘, AI 서버 세계 1위로
미디어텍은 AP 최강자 부상
(1) 50년 다진 '부품 밸류체인'…AI 붐 타고 폭풍성장
반도체-서버-HW 완제품
'AI 밸류체인' 더 촘촘해져
폭스콘, AI 서버 세계 1위로
미디어텍은 AP 최강자 부상

애플 아이폰 조립이 전부이던 폭스콘은 2017년 인공지능(AI) 서버 사업과 2020년 전기차 수탁생산 사업에 뛰어들어 단순 전자조립 공단이던 이곳을 첨단 산업단지로 탈바꿈시켰다. 엔비디아 생태계에 들어가 세계 1위 AI 서버 제조업체(점유율 40%)가 된 데다 일본 미쓰비시 전기차를 개발·생산하는 ‘자동차업계의 TSMC’가 된 덕분이다. 외신들이 폭스콘을 20일 타이베이에서 개막하는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 2025’의 주인공으로 지목한 이유다.
대만을 ‘TSMC의 나라’로 부르는 것은 반만 맞는 말이다. 대만에는 전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1위인 TSMC 외에도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핵심 장비와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여럿 있다. 엔비디아 AI 서버 생태계에 들어간 주요 10개 대만 기업(폭스콘, 콴타, 위스트론, 인벤텍, 델타일렉트로닉스, 위인, 야교, 유니마이크론, 트라이팟, 에이스피드)의 지난해 매출은 10조9646억대만달러(약 507조원)로 전년 대비 15.7%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274억대만달러(19조7910억원)로 27% 증가했다.
대만의 AI 파워는 반도체부터 서버, 하드웨어 완제품으로 이어지는 촘촘한 가치사슬에서 나온다. AI 하드웨어의 핵심인 스마트폰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세계 1위(점유율 34%)는 미국 퀄컴이 아니라 대만 미디어텍이다. 대만은 또 다른 AI 응용처인 PC 시장 세계 5·6위(에이수스, 에이서) 업체도 품고 있다.
대만이 ‘AI 하드웨어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가 경제도 날아오르고 있다. 올 1분기 대만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해 시장 예상치(3.6%)를 크게 웃돌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내년 대만의 1인당 국내총생산(3만6319달러)이 한국(3만5880달러)을 제칠 것으로 예상했다.
타이베이=박의명 기자/황정수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