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노조위원장, 초유의 '탄핵 사태' 휘말렸다 [돈앤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 원장 체제 고강도 격무·인사에 대처 미흡"
직원들, 노조위원장 탄핵 추진
금감원 설립 이래 최초
직원들, 노조위원장 탄핵 추진
금감원 설립 이래 최초

19일 복수의 금감원 관계자에 따르면 금감원 직원들은 오는 28일 정유석 노조위원장에 대한 '불신임'(해임) 투표를 진행한다. 조합원 투표에서 재적조합원 중 과반수가 투표하고, 투표자 3분의 2 이상이 불신임에 찬성할 경우 정 위원장은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
노조 내부에서 위원장의 리더십에 대한 불만이 제기될 경우, 조합원인 직원들은 정관에 따라 불신임 투표에 부쳐 '해임'을 추진할 수 있다. 금감원 공시에 따르면 올 3월 말 기준 금감원 노조원은 총 1817명(무기계약직 352명 포함)이다. 전체 가입 대상 인원 2454명의 74%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이에 앞서 지난 2일 금감원 노조 대의원들은 노조 측에 대의원 3분의 1 이상의 서명으로 정 위원장에 대한 불신임 발의서를 제출했다. 정 위원장은 불신임 발의서가 조합에 접수된 시점부터 위원장의 권한 행사가 막힌 상태다.
금감원 내부 노보에 따르면 정 위원장은 지난해 4월 취임 후 노조 운영에 대한 대의원, 조합원, 상근간부와의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소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조합의 역량을 집중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로 인해 노동조건 개선과 조직강화, 복지후생 등을 향상시키지 못했단 지적이다.
금감원의 또 다른 팀장은 "금감원의 처우나 평판이 이제 금융권에서도 최하위권으로 밀려난 상황"이라며 "이 원장 체제에서 업무 강도가 크게 늘어났음에도 이에 대한 노조위원장의 해결 방법이 소극적이고 독선적이었다. 간부들과의 소통도 원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복현 금감원장 체제에 대한 내부 피로감이 조직적·공식적 형태로 분출된 첫 사례라는 해석도 나온다.
금감원 한 국장은 "대선을 앞두고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금융당국 조직개편 가능성은 금감원 직원들의 업무와 기능에 직결되는 사안인데도, 노조가 내부 의견 수렴이나 대외 목소리 내기에 소극적이었다"며 "그간 이 원장이 대규모 인사를 낼 때도 직원들 불만이 빗발쳤지만 한 번도 직원들을 대변하지 않았던 점도 불만을 키운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금감원 한 팀장은 "올해 임단협은 6월이 되도록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라며 "성과는 올리라고만 하고 보상은 늘 뒷전인 상황에서, 노조라도 나서야 하는데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정 위원장은 최근 법원에 불신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한 상태다. 만일 투표 전 법원이 그의 가처분 신청을 인용할 경우 오는 28일로 예정된 투표는 잠정 연기된다.
금감원 노조 관계자는 "투표 준비로 바쁜 상황"이라며 "사안 특성상 달리 말씀드릴 게 없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