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현장 투입돼 선제진압
방화선 구축·연기 배출하기도
AI 화재 진압 시스템도 주목
방염복 등 해외 업체 대거 참여
경북에서 ‘괴물 산불’이 발생하는 등 대형 재난이 급증하면서 재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도와주는 첨단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소방 로봇, 인공지능(AI) 화재 진압 시스템 등 소방·안전 기술을 개발한 글로벌 기업이 대구에서 첨단 기술을 선보인다.
소방청과 대구시는 국내 최대 소방·안전 산업 전문 박람회인 ‘2025 국제소방안전박람회’가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다고 20일 발표했다. 올해로 21회째를 맞은 이번 박람회에는 427개 기업이 참가한다.
현대로템의 무인 소방로봇 HR 셰르파
현대로템은 스마트 소방기술관에서 이 회사가 개발한 무인 소방 로봇 HR-셰르파를 공개한다. 이 로봇은 전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원격 및 무인 운용이 가능해 인명 구조가 어려운 화재 현장에 투입된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이 로봇은 지난해 발생한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처럼 소방관이 불길이나 연기 때문에 진입하기 어려운 곳의 화점을 찾아 선제 진압해 소방관이 투입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소방청과 공동 개발한 이 로봇은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산불 발생 시 방화선을 구축하고 식생을 제거해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로봇과 연기를 배출하는 배연 로봇 등을 전시한다.
티엑스알로보틱스의 배연로봇
AI 기반의 화재 자동 진압 시스템도 주목받고 있다. 현대인프라코어가 개발한 알파샷은 적외선 감지 및 신호 처리 기술을 활용해 화재 발생 30초 이내에 자동으로 진압을 시작한다. 관리자와 소방서에 긴급 알림을 전송해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돕는다.
한국 시장에 진입하려는 해외 소방 안전업체도 박람회에 참가했다. 독일 산업소재 섬유 기업 노라핀은 방염직물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기업이다. 방염 기능을 갖춘 소재인데도 착용감이 좋은 것이 강점이다. 작업 효율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100회 세탁 후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라트비아의 파드텍스도 고품질 방화 신소재를 내놓는다.
싱가포르의 코셈은 고온의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 진압을 위해 설계된 원격 조정 로봇, 좁고 복잡한 구조물 내 화재 진압에 적합한 소형 소방 로봇을 전시한다. 또 차량 화재 시뮬레이터, 건물 내 화재 상황을 모사해 구조 및 진압 훈련을 지원하는 건축물 화재 시뮬레이터, 석유 가스 시설 화재 시뮬레이터 등을 소개한다.
영국의 오토파이렉스는 열 감지 튜브로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제나 건식 화합 분말을 활용한 저압 자동 소화 시스템으로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에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필리핀, 싱가포르 등 200개 이상의 해외 바이어가 참가한다. 엑스코 측은 맞춤형 구매단 투어를 운영해 바이어들이 관심 분야 제품과 기술을 구매하도록 지원한다. 소방 관련 학과 학생과 산업체 간 1 대 1 취업 상담 및 기업 설명회, 대형 건설사가 참여하는 콘퍼런스, 소방청 긴급구조통제단 정책 토론회도 열린다.
차혁관 엑스코 경영부사장은 “최근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나 대형 산불이 잇따르면서 소방안전 분야와 기술 개발에 사회적 관심이 높다”며 “국내 소방안전산업이 한층 발전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