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우 前수방사령관, 법정 첫 증언 "尹, 문 부수고 들어가 끄집어내라 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언 거부하다 반년 만에 인정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사진)이 12·3 비상계엄으로 국회에 출동했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문을 부수고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법정에서 처음 증언했다.
20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내란죄 등으로 기소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발로 차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끄집어내라고 해서 정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본회의장 가서 4명이 1명씩 들고나오면 되지 않느냐’고 한 말도 처음에는 기억이 나지 않았다가 부관이 알려줘서 기억났다”고도 증언했다. 다만 “대통령이 의원이라는 말은 하지 않았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전 사령관은 그동안 국회 청문회,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등에서 이 같은 지시를 받았는지에 대해 증언을 거부했다.
계엄 당시 이 전 사령관을 보좌한 부관인 오상배 대위도 지난 12일 법원에 증인으로 출석, 윤 전 대통령이 비화폰으로 이 전 사령관에게 “본회의장에 들어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고 나와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 등의 지시를 내렸다고 증언했다.
군검찰은 이 전 사령관이 계엄 선포 하루 전인 작년 12월 2일 포털사이트에 ‘문을 열거나 부수는 데 사용하는 도구’ ‘대통령이 국회 해산권 있나요’ 등을 검색한 기록을 근거로 ‘미리 계엄 계획을 알았던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이 전 사령관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시국 상황이) 걱정된다고 해서 저도 상상의 날개를 폈던 것 같다”며 부인했다.
이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이전 윤 전 대통령이 군 장성 모임에서 ‘비상대권’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들은 기억이 없다고 주장했다. 계엄 한 달 전인 작년 11월 9일 국방부 장관 공관 모임에 윤 전 대통령이 자리한 가운데 선거관리위원회 등 병력 출동 장소가 거론됐다는 곽 전 사령관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그는 “(당시)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 부정선거 얘기는 좀 있었지만 확보해야 할 특정 장소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현일 기자 [email protected]
20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내란죄 등으로 기소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발로 차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끄집어내라고 해서 정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본회의장 가서 4명이 1명씩 들고나오면 되지 않느냐’고 한 말도 처음에는 기억이 나지 않았다가 부관이 알려줘서 기억났다”고도 증언했다. 다만 “대통령이 의원이라는 말은 하지 않았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전 사령관은 그동안 국회 청문회,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등에서 이 같은 지시를 받았는지에 대해 증언을 거부했다.
계엄 당시 이 전 사령관을 보좌한 부관인 오상배 대위도 지난 12일 법원에 증인으로 출석, 윤 전 대통령이 비화폰으로 이 전 사령관에게 “본회의장에 들어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고 나와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 등의 지시를 내렸다고 증언했다.
군검찰은 이 전 사령관이 계엄 선포 하루 전인 작년 12월 2일 포털사이트에 ‘문을 열거나 부수는 데 사용하는 도구’ ‘대통령이 국회 해산권 있나요’ 등을 검색한 기록을 근거로 ‘미리 계엄 계획을 알았던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이 전 사령관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시국 상황이) 걱정된다고 해서 저도 상상의 날개를 폈던 것 같다”며 부인했다.
이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이전 윤 전 대통령이 군 장성 모임에서 ‘비상대권’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들은 기억이 없다고 주장했다. 계엄 한 달 전인 작년 11월 9일 국방부 장관 공관 모임에 윤 전 대통령이 자리한 가운데 선거관리위원회 등 병력 출동 장소가 거론됐다는 곽 전 사령관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그는 “(당시)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 부정선거 얘기는 좀 있었지만 확보해야 할 특정 장소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현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