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관세 50%' 트럼프 위협에…지수 동반 하락 [뉴욕증시 브리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6.02포인트(0.61%) 밀린 41,603.07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9.19포인트(0.67%) 떨어진 5,802.82, 나스닥종합지수는 188.53포인트(1.00%) 내려앉은 18,737.21에 장을 마쳤다.
한동안 잠잠하던 트럼프가 다시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내 들며 변동성을 촉발했다. 트럼프는 이날 오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 계정에 "나는 2025년 6월 1일부터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며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려는 주목적으로 설립된 EU와 거래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기자들에게도 "(6월 1일까지) 9일 안에 합의를 기대하나, 그렇게 할 수 있을까, 나는 합의를 기대하지 않는다"며 미국은 5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재확인했다.
업종별로 보면 기술이 1% 이상 하락했고 유틸리티는 1% 이상 올랐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하락했다. 애플은 3% 이상 떨어지며 시가총액이 3조달러 아래로 다시 내려갔다. 트럼프가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아이폰에는 25%의 관세가 붙을 것이라고 밝힌 여파로 투자 심리가 냉각됐다.
US스틸의 주가는 21% 급등했다. 트럼프가 US스틸과 일본제철과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 올렸다. 인튜이트는 1분기 호실적을 발표한 여파로 주가가 8.12% 급등했다. 부즈알렌해밀턴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일부 정부 일감 수주가 둔화하고 상반기 내내 수익 압박이 예상된다는 전망에 주가가 16% 급락했다.
미 중앙은행(Fed) 인사는 이날도 신중한 자세를 이어갔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Fed 총재는 "지난 4월 2일에는 연말쯤 금리가 인하될 수 있다고 예상했었다"며 "현재로서는 인하 시점이 지금으로부터 10~16개월 정도 뒤로 밀릴 수 있다"고 수정했다. 굴스비는 "단기적으로 연준은 당장 움직이기보단 상황이 정리될 때까지 관망할 필요가 있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진 금리인하 등의 조치를 취하기 위한 기준이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총재는 "기업들은 투입 비용과 산출물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며 "기업 경영진은 공급망과 재고, 인플레이션을 둘러싸고 더 커진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연준은 그 점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77.6%로 반영됐다. 7월 동결론도 갈수록 시장의 지배적인 시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2.01포인트(9.91%) 오른 22.29를 기록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